[全大 어떻게 되나] 총선 새 간판 경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새 대표를 뽑기 위한 한나라당 내 제 세력의 각개약진이 시작됐다.

전당대회는 늦어도 다음달 15일 이전에 열릴 전망이다. 선거법상 선거일 30일 전부터는 정치 집회가 중단되기 때문이다.

당헌상 임시 전대는 운영위원회 의결이나 전당대회 재적대의원 3분의 1 이상 요구로 당 대표가 소집하도록 돼 있다. 崔대표가 소집하겠다고 한 만큼 전대 개최 자체는 별 문제가 없다.

전당대회 준비는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해 20명 이내로 구성될 전대 준비위원회가 맡게 된다. 하지만 이번 전대의 경우 촉박한 일정 때문에 지난해 6월처럼 23만여명의 대의원들이 참석하는 대규모로 치러지기는 어려울 것 같다. 임태희 대표비서실장은 당원 대표자 대회인 8백명과 23만명의 중간선인 1만명 안팎 규모를 예상했다.

전당대회가 열리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전당대회 소집 절차 등을 놓고 崔대표가 중심이 된 주류 측과 비주류 측의 이해관계가 맞부딪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崔대표가 기득권을 바탕으로 후임 대표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경우 또 한차례 진통이 불거질 수 있다.

후임 대표를 둘러싼 '반최 진영' 내부의 교통정리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崔대표 퇴진에는 한 목소리를 냈지만 소장파나 중진모임 등 당내 각 세력들은 이제 새 대표를 놓고 경쟁관계로 돌변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일부에선 총선을 앞두고 대표 경선이 '올 오어 낫싱' 게임이 될 경우 자칫 분열의 골이 깊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당헌.당규를 개정해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공천 작업도 변수다. 전당대회를 공천자대회를 겸해 열기로 한 만큼 공천 결과에 따라 세력 판도는 뒤바뀔 수도 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