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V 개국전망 3월 채널의 봄 올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6면

오는 3월 개국 예정인 CATV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과연 일정대로 방송이 개시될 수 있을지 우려가 나타나고있다. 전문가들은 프로그램제작 사업자(PP)와 종합유선방송 사업자(SO)를 연결하는 분배망과 SO와 일반가정을 연결하는 전송망,그리고 가입자의 집안에 설치될 장비 시공이 예정대로 안되고 있음을 들어 3월 개국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한국통신보다 한국전력이 맡은 공사가 늦어지고 있다는 것.서울의 한 방송사업자의 경우 당초 시범방송계획은 1천가구였으나 한전측 요청으로 최근 1백가구 정도로 대폭 축소했다.
한국전력 관계자는『한국통신은 CATV전송망 사업자로 지정될 것이 확실시 돼 93년 9월부터 물량을 확보,한전보다 진도가 빠르다』고 말했다.한전은 93년 12월30일 지정받아 2개월정도 내부절차를 밟아 한국통신보다 5개월이나 늦었다 는 설명이다. 여기에 한전 자회사인 세일정보통신마저 끼어들어 SO측의 비용부담이 늘어날 가능성도 커졌다.한전 관계자는『한전의 CATV전송망 유지.보수를 위해 자회사인 세일을 개입시킨 것은 불가피했다』고 해명했지만 3~4% 정도 비용부담 증가요인 이 있음을인정했다.
가입자 설비도 골칫거리.가입자설비란 방송프로그램을 일반가정이받아보도록 가입자 집안에 설치하는 장비다.가입자 설비비는 전액가입자 부담이므로「얼마나 싼가」가 CATV사업 성공의 관건이다.SO들은『한전과 한국통신이 가입자설비를 지원 하겠다는 약속과달리 상당부분을 SO들에 전가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한국통신이나 한전은『가입자 설비는 SO 책임이며 기술적 지원에만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는 입장이다.이 와중에 2만~2만5천원으로 예상되던 가입자 설비비가 4만~6만원 수준까지올라갈 전망이다.
종합유선방송위원회(위원장 柳赫仁)의 한 관계자는 『CATV사업의 불협화음은 해당사업자들이 단기적 목표에만 집착한 결과』라고 지적했다.여기에 공보처.체신부간 업무다툼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단타위주로 투자한 SO와 달리 한국통신.한전은 CATV사업 자체보다 전략적 측면에서 이 사업을 추진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전은 이 사업을 시내 전화시장에 참여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작했고,한국통신은 SO와 한전이 시내전화시장에 진입 하려는 것을저지하는데 주력했기 때문이다.
업계는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면 프로그램 제작을 제외한 CATV업무가 일원화돼야 한다고 주장한다.업계 관계자들은『공보처가 기술과 하드웨어 분야에서 전문성이 부족했다』고 지적하고『정보통신부가 올바른 정책을 입안해야 한다』 고 주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