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官街 승진바람-국가직 국.과장 지방직 전환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全國綜合]지방 관가에 때아닌 승진바람이 일고있다.
내년6월부터 시행되는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앞두고 자치정신을 살리기 위해 지방에 있는 국가직 공무원 1만1천4백3명중 1만9백62명을 대거 지방직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시.도간부의 무더기 승진이 있게된 때문이다.
내무부는 이 전환작업을 3년에 걸쳐 할 예정인데 95년1월1일부로 지방직이 되는 시.도 공무원 2천3백21명가운데 시.도의 국.과장 2백50여명이 한 직급씩 올라가게 되는 행운을 잡았다. 이에따른 승진인사는 서울과 부산을 제외한 13개시.도에서 모두 있게 되며 시.도별로 국장의 지방부이사관 승진이 2명씩,과장의 지방서기관 승진이 18~20명씩 이루어진다.
시.도의 과장직은 40여명선이어서 절반 가까이가 승진하게 되는 것이다.
인천시의 경우 내무국장과 지방공무원교육원장이 부이사관자리가 됐고 환경보호과장.사회과장.도로과장등 18명이 서기관이 된다.
국가직의 지방직 전환은 인사의 자율성 확대라는 선물이 되는 한편 지방예산 부담이 늘어나는 측면이 있지만 중앙정부가 「감량」의 회오리로 고통받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 상황이 빚어지게 됐다. 이같은 대규모 승진이 있게된 것은 그동안 시.도의 과장과계장이 같은 사무관(과장은 국가직 사무관,계장은 지방직 사무관)이어서 어색한데다 국가직과 지방직이 상.하위개념으로 인식되는불합리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한 때문이다.
이부분은 80년초부터 대선공약으로 제시되기도 한 지방공무원들의 숙원사항이었다.
따라서 앞으로 시.도의 과장은 지방직 서기관이 된다.
이와 별도로 서울.전남광주등 구청 신설지역에는 서기관 승진이꽤 있게 돼 지방관가가 들떠있다.
그러나 시.군통합이 많은 경남.경북등은 남는 직원들의 소화에진통도 겪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