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총장 108명이 꼽은 차기 정부 최우선 과제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전국 4년제 대학 총장들은 새 대통령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대입 자율화를 포함한 교육개혁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문제로 지적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회장 이장무 서울대 총장)는 15일 대학 총장을 대상으로 한 이런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조사는 11월 16일부터 17일간 총장 201명(108명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현청 호남대 총장은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는 모든 대학의 과제"라며 "고교 졸업자의 83%가 대학에 진학하는 상황에서 대졸자를 포함한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은 다음 대통령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실업 문제부터 해결해야"=차기 정부가 사회적으로 추진해야 할 중점 과제로는 ▶일자리 창출(30%)▶교육개혁(27.6%) ▶사회 양극화 해소(10.6%)▶정치 선진화(7.8%) 등을 꼽았다. 총장들은 대졸자 비정규직의 한 달 급여가 88만원에 불과한 현실을 빗댄 '88만원 세대'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과 국제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교육개혁을 강력히 바라고 있는 것이다.

교육개혁과 관련해서는 총장 10명 중 6명은 대학 재정 확충(35.6%)과 입시 등 대학 자율화(23.6%)를 차기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답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의 절반 남짓한 0.6%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대학 지원금을 획기적으로 늘려야 경쟁력 강화의 밑거름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이다. 총장들은 특히 학생 선발권을 포함한 대학 운영 전반에 대한 권한을 대학에 넘기라고 주장했다. 대학 자율화는 올 초 중앙일보가 '2007년 핵심 교육 어젠다'로 제시한 것이다. 3불 정책(본고사.고교 등급제.기여입학제 금지) 폐지를 비롯한 입시.학사.행정에 대한 총장들의 자율화 욕구가 강해 차기 정부에서도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총장들은 ▶지방대▶이공계와 인문학▶세계적 연구중심 대학 육성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강원대 최현섭 총장은 "차기 정부가 글로벌 개혁 마인드를 갖고 교육 정책을 추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총장들은 초.중.고의 공교육 대책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학교 교육을 내실화하고,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세우고, 교육시설.재정 여건 개선을 지원해야 학생.학부모의 지지를 받는 정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열 명 중 두 명은 고교 평준화와 교육 자격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개혁 요구 강도 높이는 대교협=전국 4년제 대학 총장들은 차기 정부에 대학 자율화와 재정 지원 확대는 물론 혼란을 빚고 있는 첫 수능 등급제의 개선도 요구할 예정이다. 대교협 회장인 이장무 서울대 총장은 18일 이사회를 열고 차기 정부에 제시할 '교육개혁 중점 과제'를 확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국 201명의 협의회 소속 총장을 대상으로 교육 현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 이어 20여 대학에는 별도로 수능 등급제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이장무 총장에 이어 내년 4월부터 임기를 수행할 차기 대교협 회장에는 개혁 성향이 강한 손병두 서강대 총장이 추천됐다. 대교협은 1월 4일 정기총회를 열고 손 총장을 공식 회장으로 선임할 예정이다. 손 총장은 현 정부의 교육 정책을 강하게 비판해 왔다.

양영유 기자

☞ 2007 '올해의 10대뉴스'를 √추천해 주세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