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운용위 민간에 맡기겠다더니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변재진 보건복지부 장관은 9월 11일 정부 과천청사 브리핑 룸에서 연금법 개정안을 설명하며 “국민연금기금 운용을 민간에 완전히 맡기겠다”고 말했다. 당시 개정안은 복지부 산하의 기금운용위원회를 민간기구로 완전 독립시키는 것이 골자였다.

불과 두 달 후인 14일 보건복지부는 국민연금기금 운용의 최고 의결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를 대통령 직속기구로 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만들어 법제처에 심사 요청했다고 발표했다. 민간기구화해서 독립성과 전문성을 높이겠다던 약속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다.

◆뒤로 간 정부 정책=기금 운용을 민간에 완전히 맡기면 국민이 불안해한다는 것이 정부가 내세운 개정안을 바꾼 이유다. 대통령 직속 위원회로 둬야 국민이 믿고 보험료를 낼 것이란 얘기다. 그러나 올해 국민연금공단의 신뢰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47%)는 ‘국민연금을 못 믿겠다’고 답했다. 이 중 3분의 1은 ‘정부의 잘못된 기금 운용’을 이유로 꼽았다. 정부가 ‘정치 등 다른 목적에 연금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원칙 없는 기금 관리와 낮은 수익률을 꼽은 응답자도 많았다.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는 “최근 논의는 부처 간 권한 다툼에 지나지 않는다”며 “기금운용공사에 대한 견제·감독 기능 강화 같은 실질적인 문제는 오히려 뒷전”이라고 지적했다. 위원회 형태와 관련해 재정경제부와 복지부는 완전 독립을, 기획예산처와 총리실은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고집했다. 부처 간 이견을 조정하는 안을 만들면서 무리수도 뒤따랐다. 대통령 직속 기구이면서 위원들이 공무원 신분이 아닌 형태는 전례가 없는 것이다.

◆독립성 더 높여야=국민연금 기금은 이미 공무원들이 감당할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기금 규모는 정부 예산과 맞먹는 20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2030년에는 1814조원으로 불어난다. 국내총생산(GDP)의 54%다. 정부는 이미 신뢰를 잃을 만한 일들을 해 왔다. 1994~2000년 국민연금기금에서 39조원을 빼서 공적 자금으로 사용했다. 이자를 쳐서 갚기는 했으나 그 돈으로 채권 투자를 했으면 2조원가량의 수익이 더 났을 것이란 주장(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도 있다. 2004~2006년 국민연금의 연평균 수익률은 6.4%다. 같은 기간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은 13%, 캐나다 연금투자이사회는 19.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본·싱가포르 등은 기금 운용을 정부에서 담당한다. 그러나 최근 연금 개혁을 한 캐나다·뉴질랜드·아일랜드 등은 모두 독립 운용 체계로 전환했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