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 위원장 심장 불안정"…조동욱 교수 주장

중앙일보

입력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65)의 심장이 불안정하다는 과학적·실험적 근거가 제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음성 분석을 통한 질병 진단을 연구하고 있는 충북과학대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 교수(정보통신과학과·49)는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테이블에 앉은 김 위원장의 목소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심장상태가 불안정한 형태의 포먼트(Formant) 패턴을 나타냈다"고 17일 밝혔다.

포먼트는 1초간 특정음의 진동 분포로 김 위원장의 목소리는 심장과 밀접한 관련있는 제2구간(혓소리)의 포먼트에서 비교적 일정한 형태를 띠는 정상인과 달리 복잡하고 불규칙한 상태를 보였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특히 "김 위원장의 심장상태가 7년 전에 비해 다소 안정된 상태이나 여전히 심장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김 위원장이 그동안 의료진으로부터 심장병 치료를 받았거나 담배를 끊는 등 스스로 건강관리에 신경을 썼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김 위원장의 음성파형을 분석한 결과 높낮이가 2000년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드는 등 기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4일 배명진 교수(숭실대 소리공학연구소)의 "김 위원장은 7년 전보다 노쇠했거나 아니면 환자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는 의견과 같은 견해를 밝혔다.

조 교수는 "동의보감 등 한방원전은 심장이 좋지 않은 환자의 경우 ㄴ, ㄷ, ㄹ, ㅌ 등 설음(舌音·혓소리)이 불명확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며 "김 위원장의 목소리를 비교·분석해 오는 10월 말까지 신장이상에 대한 궁금증도 풀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실 김봉현 연구원(33)은 이번 연구는 ▲피실험자 선정과 집단군 구성 ▲설음으로 구성된 녹음자료 수집 ▲디지털 변환과 포먼트 분석 ▲피실험자 집단군별 비교·분석 ▲음성과 심장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김정일 위원장 음성 녹음 ▲포먼트 분석과 상관성 이론과 비교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번 연구는 한의학적 진단 이론을 기반으로 진행한 것"이라며 "▲한의학적으로 심장과 혓소리(설음)가 관련 있다 ▲음성학적으로 혓소리는 ㄴ, ㄷ, ㄹ, ㅌ과 관련 있다(우리말 자음체계) ▲혓소리는 제2포먼트와 관련 있다(음성학) 등을 기반으로 음성을 통한 심장 질환에 대한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2005년부터 산업자원부가 국가핵심과제로 지정한 4개 중 하나로 추진한 음성만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음성 분석방법을 지난해 10월 구현했다.

현재 경희대 한방병원과 협력해 환자의 상태와 목소리를 조사하고, 건강검증센터의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해 음성분석 기기에 적용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조 교수는 앞으로 연구개발을 거친 후 상용화 적합한 업체를 찾아 상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옥천=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