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뀐 수능, 공교육만으로 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올해 고3부터 지금까지와는 상당히 다른 형태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적용된다. 이미 4년 전 예고된 변화이긴 하지만 수능방식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져 학생과 학부모 사이에 혼란이 예상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수능 변경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을 샅샅이 파악해 혼선과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교육부와 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무엇보다 탐구영역의 과목별 난이도를 균등하게 유지하는 데 각별하게 신경을 써야 한다. 새 수능은 언어.수리.외국어 등 3개 영역을 비롯해 사회.과학.직업 등 탐구영역, 제2외국어.한문영역으로 치러진다. 탐구영역은 일반선택과목 26개, 심화선택과목 53개 등 모두 79개 과목이나 된다.

우선 과목수가 엄청나게 많고 다양한 것이 수능에서 어떤 결과를 낳을지 궁금하다. 가뜩이나 공교육의 붕괴가 문제인데 학교에서 여러 과목을 좋은 점수를 얻을 만큼 심도있게 가르쳤겠느냐는 점이다. 사교육을 부채질하는 부작용이 나올지도 모른다.

수많은 과목을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하는 작업도 매우 힘들다. 과목의 선택에 따라 수험생의 희비가 엇갈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여러 차례 모의고사를 실시해 과목별로 학생의 성적분포가 일정하도록 난이도를 조절해야 한다. 특히 교육부는 수능출제 과정을 철저히 감독해 지난해와 같은 복수정답 사태도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대학별 전형방법을 보면 그야말로 천차만별이어서 정확한 내용을 알지 못하면 수험생이 진학에 차질을 빚을 정도다. 오래 전부터 입시학원들은 복잡한 전형내용을 미끼로 한 설명회를 열고 학원 상담과 심화 선행학습을 강권하고 있다. 새 제도에 무지한 학부모의 불안한 심정을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학원의 도움이 없이도 가정에서 대입요강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책자와 인터넷을 통해 대학별 수능 적용 방법을 널리 알리고, 입시와 관련한 문의가 항상 가능하도록 대학과 고교의 상담기능을 강화하는 일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