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불붙은생수전쟁>4.지하수관리 대책 더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프랑스의 에비앙.볼빅,일본의 산토리.삿포로등 유명제품들은 생산설비 자체가 우리와 달리 알프스계곡등 청정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생수업체가 9백여개에 이르는 미국은 70년대에 벌써 지하수 오염 가능성圖를 작성,공장위치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채수된 물을 상품화 과정에서 끓이는 효과가 있는 열살균을 해 자외선 살균으로「살아있는 물」을 지향하는 우리와「생수」의 개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에따라 유통기간도 우리(대형 2개월,소형 6개월)보다 긴 1년이고 포장도 재활용이 가능한 유리병이나 캔으로 1~2ℓ들이가 대부분이다.
우리는 18.9ℓ짜리 큰 용량을 가정에 배달하는 것이 많아 유통.저장과정에서의 변질 우려도 높다.
포장 용기도 값이 싸다는 이유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플라스틱을 쓰고있어 포장용기의 재질.크기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필요하다는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생수 개발 열기는 이같은 제품관리의 문제외에 우리에게 지하수관리라는 새로운 차원의 물관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생수시판에 대한 정책이 갈팡질팡한 지난 7년동안 허가업체는 물론 우후죽순격의 무허가업체들이 불법시판을 해왔으나「깨끗한 물」의 관리조차 어려운 상태였다.
정부가 생수시판을 허용하지 않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생산공정의감독 자체가 불가능했고 불법시판에 대한 단속도 소극적이어서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생수 관리가 이 정도였으니 지하수 관리 정책은 엄두도 못낼 형편이었다.그동안 공업.농업.생활용수를 지하에서 뽑아 쓰면서도땅속의 석탄 캐듯이 물을 쓰기만 하면 되는줄 알았던 것이 지금까지 지하수정책의 전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은 지하수 자체의 오염은 물론 주변생태계를 파괴하게 되고 지하수의 오염은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선진국들은 총체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환경보호청 예산의 43%를 지하수 오염조사와 정화업무에 사용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오염물질 누출자를 철저히 추적하고 오염유발자가 원상복구하지 않을 때는 계열회사에까지 연대책임을 묻는다. 그러나 생수시대를 앞둔 우리는 적지않은 지하수 오염사례를 경험했으면서 도 지하수 보호에 너무 소홀하다.
지하수 행정이 그 용도에 따라 건설부.농수산부.보건사회부.환경처등으로 분산된 점이 쓸줄만 알았지 보전은 뒷전이라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전국이 지하수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지만 아직 지하수 이용의 기초자료가 되는 수리지질圖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물관리 방식으로는 식수원 오염등 지표수에서의 실패를 지하수에서까지 반복하게 될 것이 뻔하다.
따라서 생수정책은 깨끗한 물을 마실 권리와 지하의 수자원을 원상태대로 후대에 물려줄 의무를 동시에 충족시킬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보사부는 취수정 반경 2백m이내에 쓰레기매립장.공장.목장.집단거주지등 오염원이 없고 생산시설을 전자동화해야 한다는 내용의생수 시설기준을 마련했으나 전문가들은 개발단계에서부터 더욱 체계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보사부 의뢰로「광천음료수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를맡았던 대한지하수환경확회 韓楨相부회장은 수질오염을 막기위해 허가단계에서부터 최적 개발가능량만을 취수하도록 취수공설치를 규제하고 하루 채수량도 제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수질보전을 위해 취수정 근처에 각종 오염원의 설치를 강력히 규제하고 조기 오염탐지망을 설치할 것을 주장했다.
韓박사는『우리 생수공장중 오염예방을 위한 지하수 최적관리 기법을 적용하는 곳은 한군데도 없다』며『생수를 마시게된 원인을 이제라도 바로 알고 백년대계를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李德寧기자〉 ………………………… ◇도움말 주신 분▲金相鍾교수(서울대미생물학과.환경과 공해연구회장)▲崔茂雄교수(건국대지리학과.한국지하수학회 회장)▲柳根培교수(서울대지리학과)▲韓楨相박사(대한지하수환경학회 부회장.자원환경지질학회 부회장)▲全啓烋 보사부위생국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