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지방경제도 국제화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 타결이후 언론보도를 보면 마치 세상이 완전히 뒤바뀐 듯한 느낌을 받는다.국제화.개방화가 모든 경제활동의 잣대가 돼버렸고,우리 경제는 각 분야가 모두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는 것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러나 UR타결이후 세계 경제질서가 새로운 시대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일반적으로 우려하는 것처럼 전혀 생소한 미지의 세계가 시작된 것은 아니다.오히려 지금까지 우리 경제가 성장해온 길이 바로 국제화.세계화를 향한 것이 아닌가 반문하고 싶다. 단,지금까지 우리 경제가 특정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중앙 집중적인 발전전략을 추구해옴으로써 지역간.산업간 균형발전이나 하부구조에 대한 투자가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다.개방경제시대에 대비한 우리의 준비가 부실하게 됐으며 그중에서도 우리 의 지방경제는 국제화.개방화의 거센 파고를 넘기엔 너무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총체적인 국가경제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경제의 국제화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하며 이의 주체는 바로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기업인들 자신이다.
먼저 지방기업의 경영 국제화가 시급하다.국경없는 무한경쟁시대에서의 생존은 기업 자신의 책임이며 기업인 개개인이 홀로서기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기업의 국제화는 곧 상품수준의 국제화를 포함,기술.상표등 경영자원의 국제화를 의미한다.
다음은 지방기업에 대한 종합적 측면지원 체제를 강화할 필요가있다.아직 국제화의 걸음마단계인 지방기업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지방 상공회의소나 거미줄같은 해외조직망을 지닌 貿公의 공조체제가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최근 지방자치단체별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해외시장개척단이나 시장조사단 파견사업을 더욱 활성화해야 하겠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방경제인들의 의식전환이다.새로운 기업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진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특히 종래 모방과 답습에만 기대던 기업운영을 과감히 떨쳐버려야 한다.
이를 통해 얼굴없는 상품을 쉽게 팔기보다 자기 책임하에 기업의 이름을 팔수 있는 고유 영역을 하루빨리 개척해야 할 것이다.이같은 노력을 계속할때 지방기업의 국제화는 그리 먼 훗날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