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계 經濟인식 큰 차이" 강신호 전경련회장 지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장관들은 늘 '다 잘 되고 있다'며 실상과 동떨어진 얘기만 한다. 정부는 소비 진작책과 억제책을 같이 내놓고 있다."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무엇이 불확실한지 묻고 싶다'고 밝힌 데 대해 강신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과 현명관 부회장은 15일 '이런 것이 불확실성'이라고 설명했다.

姜회장은 이날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와 경제계간 경제 실상에 대한 인식 차가 크다"면서 "장관들은 실상과 동떨어지게 '정부가 잘 하고 있다' '잘 되고 있다'고만 말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경제단체장들이 아무리 '그렇지 않다'고 말해도 (장관들의 이 같은 자세 때문에) 의견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姜회장은 또 "그동안 정부가 내건 목표가 구체성이 없었다"면서 "(불확실성을 없애려면)정부가 일관성 있는 모습을 보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선정해 실천에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玄부회장도 최근 50만원으로 책정된 1회 접대비 한도를 정부 정책의 혼선 사례로 꼬집었다. 그는 "이는 소비 억제책"이라면서 "정부 한켠에선 내수 부진으로 소비 진작책을 내놓고 있는데 다른 쪽에선 이처럼 반대되는 정책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동석한 좌승희 한국경제연구원장도 "정부 정책과 방향이 글로벌 트렌드와 맞는지에 대해 재계가 확신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 문제가 거론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姜회장은 정치권을 향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정치인 중에는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면서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설득하려는 마음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盧대통령에 대해선 "말을 많이 하기보다는 남의 얘기를 많이 들으면 인기가 크게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姜회장은 정치자금 수사와 관련, "장사꾼이 어떻게 깨끗하게만 장사할 수 있는가"라고 반문하면서 "약장수가 약을 잘 팔려고 해도 과자를 선물하고 저녁도 먹으면서 인간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자금 수사는 이제 그만하고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 등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玄부회장도 "정치자금 문제는 일괄처리 방식 등을 통해 늦어도 2월 말까지 다 끝내고 3월부터는 기업들이 본연의 업무에 주력하도록 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영욱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