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방위병」아직 많다/평균 27%… 부유층자제는 43%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3∼5월 재신검 68%가 현역대상/병무청직원 자제들 면제도 많아
부유층·저명인사 등 자제의 병무부조리가 여전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방부와 병무청이 8일 임복진의원(민주)의 요구에 의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5월 병무부조리 의혹자에 대한 정밀재신검 결과 방위병(3,4급) 판정을 받은 25명중 68%인 17명이 현역(1,2급) 해당자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군의후보생(3,4급) 판정을 받은 94명 가운데 47%인 44명이 현역입영 대상자였으며,특히 유리한 판정을 받기 위해 체중을 무려 20㎏이나 줄였던 사례까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함게 병역중점관리 대상자의 병역의무 실태를 분석한 결과 방위병으로 판정받은 경우가 국민평균 27%인데 반해 병무청 직원들의 자제는 40%에 달했으며 서울 압구정동·서초동의 저명인사·부유층·공무원 자제는 43%로 국민평균보다 훨씬 높았다.
병역면제를 받은 경우는 국민평균이 18%인데 비해 병무청 직원 자제는 24%로 높게 나타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병역의무 이행률의 차이가 극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지난 90∼92년 서울 평창동·압구정동 부촌과 봉천동·미아동 등 빈촌을 비교한 결과 현역의 경우 부촌의 34%인데 반해 빈촌은 40%,방위병의 경우 부촌 56%·빈촌50%,병역면제의 경우 부촌·빈촌 모두 10%로 역시 부촌 거주자의 방위병 입영률이 높게 나타났다.
병무청은 『병역의무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지도층 및 고소득층 자제·유명연예인·운동선수 등 1천2백96명(지난 7월말 현재)을 병역중점 관리대상으로 선정,특별관리하고 있으며 국외거주 미귀국자의 경우 친권자 등 귀국보증인에 대한 과태료부과 및 행정제재와 함께 미귀국자의 명단을 매스컴에 공개하는 등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병무청은 올들어 미귀국자와 부모 3백26명의 명단을 공개한뒤 12명이 귀국해 이중 6명이 입대했다고 밝혔다.
한편 강창성의원(민주)은 『국방부에 근무하는 현역 사병 및 방위병중 10%인 2백50명이 병무부정에 의해 배치됐으며 이중 1백10명(현역 48명,방위병 62명)이 안기부·병무청의 현고위직과 외교관·대학교수·예비역장성·중앙부처 고위직 자제들』이라며 『군미필 해외체류자 3백7명의 친권자 직업 가운데 고위공직자 또는 사회지도층 인사는 거의 없다』며 그들의 명단을 즉각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