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전경련 회장단회의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全經聯의 회장단 회의는 金泳三대통령이 최근 대기업그룹 총수들과 잇따라 단독 면담을 갖고 경제의 활력회복과 실명제의 조기정착에 앞장서주도록 당부한데 따른 和答이라 할 수 있다.
全經聯은 이번 회의에서 정부의 재계에 대한 시각과 협조 요청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회장단은 물론 대통령과 면담했던 그룹회장들,그리고 경제단체장까지 초청할 정도로 신경을 많이 썼다.그것은 대통령에 대한 「예의 갖추기」와 함께 『정말 우리 경제를 이대로 놓아두어서는 안되겠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이날 회의는 崔鍾賢회장의 소집방침으로 1주일 전부터 준비됐으며 재계의 거물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기대를 모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단호한 결의」와 경쟁력강화위원회의 설치계획외에 획기적인 내용은 없었다.기업활동은 이윤이 나는곳에 찾아가는 자연스런 흐름이라야지 명분이나 체면치레에 따라 억지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일부 내비쳐진 셈이다.
그래서 이날 회장단 회의에 대한 평가를 놓고 낙관론과 비관론이 엇갈린다.
대기업그룹 총수들이 모여 뭔가 해보자는 결의를 한 것만으로도중소기업들에는 희망을 주고 국민들에게는 불안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는게 낙관론이다.全經聯에서 원칙을 세웠으니 앞으로 대기업 그룹들이 각자 처한 사정과 형편에 따라 구체 적인 案을 만들어 추진하면 된다는 것이다.
비관론은 정부의 경직된 자세로 인한 재계의 의욕상실을 지적한다. 대통령과 독대한 그룹 회장들 가운데 재계의 불만을 솔직하게 털어놓은 사람은 거의 없었으며 이번 회의에서조차 對정부 건의나 요구를 아예 하지않기로 한 것은 재계와 정부간 분위기가 아직 경색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金東均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