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올 성장율 하향조정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정부가 「신경제」의 목표치를 낮춰잡게 된것은 투자나 생산.물가등 최근의 거시지표 동향을 감안할때 더 이상 올해 목표치를 고집할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럭키금성경제연구소가 올 성장률을 4.4%로 전망하는등 민간연구소들의 의견을 들어봐도 6% 성장률은 아무래도 이루기 힘들어보인다. 올 성장률이 작년(4.7%)과 비슷한 수준에 머무른다해도 내용은 작년에 못미칠게 분명하다.왜냐하면 지난해의 경우 전년의 8.4%에 비교한 것이지만 올해는 작년의 4.7%를 바탕으로 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다 소비자물가는 냉해등 기상여건이 안좋아 억제선(5%내)을 돌파할 것이 확실시 된다.신경제 첫해의 성적표가 자칫 「저성장.고물가」라는 낙제점을 받을 공산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경제가 기대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은 무엇보다 기업들의 자세가 아직도 적극성을 띠지 못하고 있는 점이 먼저 꼽힌다.국제경쟁력이 밀리면서 새로 돈 벌 만한 수출상품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데다 금융실명제 실시로 내수경기도 한풀 더 가 라앉아 있기때문이다.
수출쪽을 보더라도 美달러貨에 대해 일본 엔貨가 올들어 17.
7%나 절상돼 수출환경이 나아진 것 만큼 수출실적이 향상되지도못하고 있다.괜찮다는 선박도 아직은 노사분규의 후유증을 완전히극복하지 못하고 있으며,자동차는 내수수요를 충 당하느라 수출물량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있다.여기에다 올들어 수출호조의 기반이 됐던 中國시장이 중앙정부의 긴축정책 선회로 수출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성장.물가.국제수지라는 세마리 토끼를 겨냥하던 신경제 목표가일단 일그러지는 모습이다.
金泳三대통령이 대기업 회장들을 차례로 청와대로 불러 얘기를 나누는 것도 경기를 좀 살려보려는 의지에 다름아니다.
실명제를 전격 실시하면서 청와대쪽의 의중은 경제成長의 희생은어느정도 감수한다는 것이었다.그러나 예상보다 경제전망이 어두워지자 대기업들부터 투자를 앞장서도록해 경기를 받쳐보자는 의도일수도 있다.
정부정책 관계자들은 지금부터라도 기업의 어느 부분을 다독거려야 경제가 잘 돌아갈지 기업쪽에 더 다가가 얘기를 듣고 타이밍있는 정책을 찾아야 할 때다.
〈沈相福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