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파병 문제 삼은 점 공통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2004년 6월 이라크 무장세력에 의해 납치돼 알자지라 방송에 나온 고(故) 김선일씨.[중앙포토]


아프가니스탄 한국 교회 봉사단 피랍 사건은 2004년 이라크에서 발생했던 김선일씨 납치 살해 사건의 악몽을 떠올리게 한다. 현지 무장 세력이 한국군 파병을 문제 삼아 납치극을 벌였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당시 이라크 현지에서 미군 군납업체의 직원으로 일하며 선교 활동을 하던 김씨는 이라크 미군 점령에 저항하는 무장 세력에 납치된 뒤 20여 일 만에 살해됐다.

김씨는 대학을 졸업한 뒤 미군 군납업체인 가나무역에 입사했고 2003년 6월 지사 근무를 위해 이라크에 입국했다. 그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동시에 기독교 선교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었다. 2004년 5월 31일 물건 배달을 위해 수도 바그다드에서 200㎞ 떨어진 미군 리브지 캠프를 출발해 팔루자 인근 지역을 지나던 그는 '알 타우히드 알 지하드(유일신과 성전)'라는 무장 세력에 납치됐다.

김씨 납치 사실을 알게 된 가나무역 측은 현지 변호사를 고용해 비밀리에 석방 교섭을 벌였지만 소득이 없었다. 6월 21일 알자지라 방송은 한국군 파병 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한 무장단체가 한국인을 납치했다는 방송을 내보냈다. 김씨 피랍 사실이 공식적으로 알려지는 순간이었다.

한국 정부는 모든 외교 수단을 총동원해 김씨 석방에 매달렸다. 반기문 당시 외교부 장관이 알자지라 방송에 직접 출연해 김씨의 석방을 호소하기도 했다. 정부는 그러나 저항세력의 요구사항인 한국군 파병 철회 요구는 들어줄 수 없다고 발표했다.

결과는 최악이었다. 김씨는 6월 23일 팔루자 인근 도로변에서 참수된 주검으로 발견됐다. 김씨 피살 사건은 국내에 큰 충격을 줬다. 이라크 파병 반대 주장도 거세게 일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2004년 9월 3600명으로 구성된 자이툰 부대를 이라크 아르빌에 파병했다.

유철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