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대 안덕선 교수 같은대학 대학원생된 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고려대 안덕선 교수(40·의대성형외과)는 오는 3월부터 시작될 「사제겸업」을 앞두고 요즘 마음 가다듬기에 특히 신경을 쓰고 있다.
교수로 틀이 잡힌게 햇수로 4년째인 그는 이번 봄 학기부터 석사과정(고려대 불문과)의 대학원생이 되어 한편으로 가르치고 한편으로 배워야하는 입장이 됐다. 서로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불문학과 성형외과학을 오가며 수없이 사↔제로의 변신을 꾀해야할 처지가 된 것이다.
『꼭 하고 싶은 불어공부였지만 막상 대학원 시험에 합격하고 보니 겁이 납니다. 잘 해낼 수 있을까하는 걱정도 들고요.』 안 교수는 개학을 코앞에 둔 「학생답게」마음을 낮추었다. 이미 불문과 지도교수와 한치 빈틈없는 사제관계를 약속한 터지만 학생이라는 심적 부담을 그는 완전히 떨칠 수 없는 듯 했다.
안 교수가 이번에 택한 전공은 불어학. 전문의 과정을 캐나다의 토론토에서 마친 것이 불어와 친숙해진 계기가 됐다고. 캐나다는 영어와 불어를 공용어로 하고있다. 그는 자신의 소질이나 취향이 「문과쪽」이라며 『의사가 된뒤로도 이 방면에 미련을 완전히 버릴 수 없어「호시탐탐」기회를 노려왔다』고 말했다.
그가 불문과대학원 시험을 치른다는 사실은 식구들은 물론 병원관계자들도 눈치채지 못했다. 『떨어지면 망신스럽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에 안 교수는 누구에게도 시험 본다는 얘기를 꺼내지 않았다. 그는 아침 회진 돌고 오전 시험보고, 병원 구내식당에서 점심식사하고 오후시험 치르는 식의 「시치미 작전」으로 일관했다. 이번 시험에는 13명이 응시해 안 교수를 포함, 3명이 합격했다. 불문과 대학원에 그가 진학했다는 사실이 주변에 꽤 알려진 요즘, 안 교수는 몇 몇 개인목표를 「공개」하며 꼭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다. 프랑스 학술지에 불어의학논문을 써내고 불어의학사전을 펴내는 것은 그가 우선할 일들이다. 이 같은 작업은 프랑스가 정형외과학의 원조국가로 평가받고 있는 터여서 상당히 의미있는 일이 될 것 같다. <김창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