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 의원, 죽은 결의안 불씨 살리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일본과의 동맹관계를 고려해 결의안 일부에 일본 정부의 인권 향상 노력을 지지한다는 내용이 추가되긴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이 책임져야 한다는 핵심 내용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26일 위안부 결의안이 미 하원 외교위를 통과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마이클 혼다(민주.캘리포니아) 의원은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레인 에번스(민주.일리노이) 전 의원이 하원 외교위원회에서 통과시킨 위안부 결의안이 회기를 넘겨 자동 폐기되자 올 1월 31일 다시 결의안을 제출, 불씨를 되살렸다.

혼다 의원은 일본 정부와 의원들의 집요한 반대 로비에도 굴하지 않고 "결의안은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정의를 살리는 길"이라며 동료 의원들을 꾸준히 설득했다. 3월에는 위안부 할머니 세 명을 출석시킨 가운데 하원 청문회를 열어 일제의 만행을 생생하게 고발했다.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출신의 혼다 의원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계 3세라는 이유로 '적국인'으로 간주돼 미국 내 수용소에 억류된 경험이 있다. 평화봉사단원과 역사 교사를 거쳐 1990년 샌타클라라 카운티 행정관료로 정계에 입문했다. 그 뒤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을 거쳐 2000년부터 연방 하원의원(4선)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혼다 의원과 함께 결의안 통과에 큰 힘을 보탠 주인공이 뉴저지에 본부를 둔 '한인유권자센터'의 김동석 사무총장이다. 그는 미국 내 200만 한인을 대상으로 '지역구 의원에게 결의안 지지 요구 편지 보내기 운동'을 벌여 미 의원들이 결의안 지지로 돌아서게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과정에서 미 전역의 한인단체 수백 개의 힘을 결집, 미주 한인의 정치력 신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