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Story] 통신료, 묶어쓰면 확 내려갑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다음달 1일부터 본격화되는 통신 결합 서비스 시장을 놓고 통신 사업자 간의 경쟁이 불붙었다. 특히 초고속인터넷과 이동통신시장 분야에서 각각 선두주자인 KT와 SK텔레콤간의 힘겨루기가 치열하다. 통신서비스 이용자들은 초고속인터넷과 휴대전화·집전화 등이 묶인 결합상품을 잘 고르면 10% 안팎의 통신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기회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초고속인터넷과 전화, 방송 등이 결합한 트리플 서비스가 아직 완벽하진 않지만 가족단위로 장기간 가입할 경우 상당한 통신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SKT의 반격=SK텔레콤은 25일 휴대전화와 초고속인터넷을 묶은 결합상품을 다음달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 김신배 사장은 “결합상품을 이용할 경우 연간 이동전화 요금의 10~15%를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KT가 가입자의 45%를 장악하고 있는 초고속인터넷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CJ케이블넷·C&M·T브로드 같은 종합유선방송 사업자(MSO)와 손 잡았다. SK텔레콤의 이동통신서비스(투게더요금제)와 MSO의 초고속인터넷을 동시에 가입하면 우선 휴대전화비의 기본료 3000원과 통화료의 5~20%를 할인받을 수 있다. 초고속인터넷은 MSO별로 다르지만 5~10%를 싸게 이용할 수 있다. 휴대전화 요금으로 월평균 4만원씩 쓰는 4인 가족이 이 상품을 이용하면 연간 약 28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또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에 무선인터넷(T로그인)을 묶은 상품도 출시한다. 이 상품을 쓰면 T로그인 요금 10%를 별도로 할인 받는다. 김 사장은 그러나 “집전화 서비스는 내년초 시장상황을 봐가며 출시 일정을 잡겠다”며 “다음달부터 장애우·노약자·청소년들이 보다 값싸게 통신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는 상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KT-KTF 연합전선=KT는 이미 SK텔레콤이 가입자의 50%를 잡고 있는 휴대전화 시장 진출을 위해 KTF와 제휴했다. KT는 초고속인터넷(메가패스)과 KTF의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쇼(SHOW)를 묶은 상품을 다음달부터 판매한다. 초고속인터넷 요금을 5~10%깎아주고, 쇼의 기본료 10%도 할인해준다.

  LG데이콤은 집전화와 초고속인터넷을 묶은 상품을 20일부터 판매하고 있다. 집전화 시장은 KT가 92%를 차지하고 있다. LG데이콤이 내놓은 인터넷을 활용한 집전화는 가입비가 없고 가입자끼리는 통화가 무료다. LG데이콤 측은 “KT보다 전화비가 30∼40% 싸다”며 “기존 집전화와 달리 뉴스·날씨·증권정보 등을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KT 측은 “당장은 초고속인터넷과 집전화를 묶은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KT 측은 8~9월께 초고속인터넷과 주문형비디오서비스(VOD)인 메가TV를 결합한 서비스를 출시한다. 하나로텔레콤은 2월부터 초고속인터넷·집전화·하나로TV와 초고속인터넷·집전화를 하나로 묶은 결합상품을 각각 20%와 1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장정훈·이현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