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계 공보처 방송사신설 신경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종교계마다 공중파TV와 지방라디오방송망의 신규설립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정부는『CATV이외엔 일절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해 귀추가 주목된다.
개신교계는 88년「기독교TV 설립위원회」를 구성한 뒤 90년 TV방송설립 참여신청서를 정부에 제출했으며, 불교계가 지난8월「불교방송지방방송망 확장과 TV방송국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 TV와 라디오지방방송망 설립 참여의사를 밝힌데 이어 천주교계도 TV채널 확보를 내부적으로 적극 검토하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교계가 이처럼 방송망확충에 적극성을 띠는 것은 전파매체의 확보여부가 종교간 판세를 좌우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그러나 공보처는 지난 5월『민간에 줄 수도권 TV채널이 없고 가용 FM라디오주파수 역시 부족한 실정』이라며『종교간 형평 등을 감안할 때 특정종교에 TV채널 등을 허용하는 것은 어렵다』고 밝힌바 있어 종교계의 요구가 받아들여질지는 불투명하다.
다만 정부는 1백여개의 채널이 생길 CATV에는 종교전용 채널의 신설이 가능하다고 말해 공중파 방송이 아닌 유선방송 형태로 종교계의 요구를 수용할 뜻을 비췄다.
그럼에도 종교계가 공중파TV와 라디오 지방망 확보를 위해 경쟁을 벌이는 이유는 종합유선방송과 위성방송시대를 대비해 정부가 주파수 및 채널조정작업을 내부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나름대로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위성방송과 AFKN채널 반환으로 채널의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도 풀이되고 있다. <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