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민자탈당 검토/명예총재직 사임중 택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내일 김 총재에 통보할 듯/공정한 대선관리에 전력/관권선거 후유증 수습도 고려
청와대는 관권선거 후유증을 수습하고 대통령선거의 공정한 관리를 위해 노태우대통령이 민자당을 아예 탈당하거나 명예총재직만을 사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노 대통령은 17일 두가지 방안중 하나를 선택해 18일 오전 갖게될 김영삼민자당총재와의 회동에서 자신의 결정을 통보할 예정인데 관권선거 배제의지와 공명선거 실천강도를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해 당적이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이 탈당하면 명예총재직은 자동적으로 사임된다.
청와대의 일부 참모는 노 대통령이 민자당 당적을 이탈하면 여당의 정권 재창출과 임기말의 효과적인 국정수행에 차질을 빚을지도 모른다는 우려에서 명예총재직 사임을 주장하고 있으나 연기파동으로 인한 관권선거에 대한 여론악화와 김 총재의 리더십 강화필요성을 감안할때 아예 탈당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다수다.
한 참모는 노 대통령의 민자당 탈당은 단체장선거 실시연기를 결정한 당사자로서 이 문제가 정당간 쟁점이 되는 것을 약화시키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노 대통령은 단체장선거 연기를 대통령의 책임있는 결정으로 마무리지을 생각이라고 전했다.
노 대통령은 18일 회동에서 김 총재에게 자신의 의사를 일방적으로 밝힌 뒤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잔여임기중 공명선거 확립에 사심없이 진력한다는 취지에서 18일 오후 또는 19일에 있을 개각은 총리를 포함한 대폭개각으로 하고,인선대상도 김 총재가 건의한대로 가급적 중립적 인사를 기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삼정권 창출」위한 결단(해설)
청와대가 지금까지 전혀 고려하지 않던 노태우대통령의 민자당탈당 내지 명예총재직 사임쪽으로 급선회한 것은 연기파동의 조기수습과 김영삼정권 창출을 위한 살신성인을 겨냥한 것이다.
특히 김영삼민자당총재가 16일 관권선거를 공개리에 인정하면서 「대담한 개각」「중립선거내각 구성」을 들고 나온 것을 뒷받침하지 않을 수 없는 한계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노 대통령은 이제 자신을 무력화하더라도 김 총재를 돕고 정국을 안정시키자는 쪽으로 마음을 비워가는 것 같다. 어차피 김 총재가 전면에 나서 선거를 치를 지경에서 민자당 당적을 갖고 있는 것이 국정수행에도 별 도움이 안된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이같은 고려외에 김대중민주당대표가 줄기차게 요구해온 당적 이탈을 받아들임으로써 정국 정상화에 기여하겠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단체장선거 연내실시의 제1 이유로 공정성 확보를 강조해왔고 같은 이유에서 노 대통령의 민자당 당적이탈을 강도높게 주장해왔다. 때문에 김 대표가 대통령의 당적이탈을 국회등원 명분으로 이용해주길 바라는 것이다.<김현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