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지하철 요금 합산부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내년 7월 1일부터 버스와 지하철의 이용거리를 합산해 통합요금을 부과하고 이용 시간대에 따라 차등을 두는 등 서울시내 대중교통 요금체계가 대폭 개편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집적회로(IC)칩이 장착된 신교통카드가 도입되고 오는 2006년까지 매년 지하철은 21%, 버스는 6%씩 요금이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중교통 요금체계 개편방안'연구용역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통합요금.거리 비례제=개편안은 대중교통 편을 갈아탈 때마다 매번 따로 요금을 내는 현행 제도를 개선, 전체 이용거리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통합요금.거리 비례제'를 제시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지하철에서 마을버스나 시내버스로 갈아탈 경우 따로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대신 지하철과 버스의 기본 이용거리를 3㎞ 또는 5㎞로 정하고 이용거리가 3㎞ 늘어날 때마다 50~1백50원씩 추가요금을 낸다. 요금은 승차시 기본요금을 부과하고 하차시 총 이동거리를 계산해 추가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이에 따라 단거리 이용자나 버스.지하철.마을버스 등을 연속해 이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부담이 줄지만 장거리 이용자들의 부담은 늘어난다.

또 개편안에는 자정~오전 4시 요금을 20% 할증하고 오전 10시~오후 4시, 오전 4시~오전 6시에는 요금을 10% 할인해주는 차등 요금제도 포함돼 있다.

시는 이 같은 요금제 도입을 위해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현 교통카드 시스템을 대신할 신교통카드 시스템을 구축, 내년 5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IC칩이 내장된 새 교통카드는 버스.지하철 이용 등 기존 교통카드 기능은 물론 택시 요금이나 주차 요금, 각종 민원 수수료 등도 결제할 수 있다.

◇요금 인상 조율이 관건=이번 개편안에는 요금 인상과 합리화를 통해 지하철의 만성 적자와 버스의 낙후된 서비스 수준을 개선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개편안에 따르면 지하철 요금의 경우 현행 7백원(1구역 기준)에서 매년 21%씩 인상될 예정이다.

따라서 새 요금체계안은 단거리 이용객과 환승객에게는 현행 요금체계보다 저렴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큰 폭의 인상이 불가피해 시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또 이동거리가 몇 ㎞인지 알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요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 예상하기가 어려운 데 따른 시민들의 혼란도 우려된다.

서울시 김기춘 교통기획과장은 "이번 개편안을 토대로 각계 의견을 수렴해 내년 초 서울시 기본안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요금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신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