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 기업경영처럼”/시 도마다 재정확충 겨냥 묘안경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해외까지 나가 특산품판촉/국제협력계 등 기구신설·경제교육 붐
『도지사·군수가 되려면 경영감각과 능력부터 길러라.』
지방자치제 실시로 「지방시대」가 본격 개막되면서 행정에도 기업경영 기법 도입이 한창이다.
주민들의 높아진 개발·복지욕구 충족을 위해 지금까지 중앙정부 시책의 효율적 집행에 치우쳤던 관리위주 행정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역경제의 실질적 주체역할을 하면서 재정수입을 늘리는 방향으로 기구신설·제도개편 등을 앞다퉈 추진중이다.
일부 지자체는 멀리 해외에까지 자기고장 특산품 판촉활동에 나서고 있으며 내무부는 지방공기업 확대방안도 마련했다. 바야흐로 지방행정도 「기업경영」시대다.
◇시장 확보=지역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주민들이 만들어낸 상품을 팔 시장 확보가 중요하다. 전남도는 4월1일 일본 오사카 대한무역진흥공사 전시장안에 상설전시코너를 마련,삼계탕 통조림 등 11개 품목 판촉활동을 시작한데 이어 지난달 19일엔 서울에서 「가을쌀예약」 판촉행사를 가졌다. 부산·경북·경기·충북·강원·제주 등 6개 시·도도 지난달초 국제간 경제·인적교류를 추진할 「국제협력계」를 신설,해외물산전을 준비중이다.
내무부는 지자체의 산업진흥을 위해서는 지역여건에 맞는 상품을 적극 육성하는 것이 중요한만큼 지자체를 대상으로 특화상품·산업 파악을 진행중이며 일본의 「일촌일품」식 운동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경제교육=내무부는 지방자치제실시에 따른 지자체 기능의 변혁을 위해선 의식개혁이 1차과제라고 보고 각 시·도 전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영행정과 경제마인드」에 대한 교육을 실시,현재까지 90% 가량 교육을 마쳤다.
이와 별도로 지역경제를 담당하는 4,5급 공무원 4백명은 경제기획원 산하 국민경제연구원에서 3일간씩 위탁교육을 실시중이다.
◇기능 확대=내무부는 원가절감 경영합리화를 통해 지자체사업을 개선하기 위해 96년까지 청소위생·관광·도축업 등 1백36개 사업을 공기업화하는 계획을 시행중이다.
또 지금까지 물가동향파악 정도에 그쳤던 경제실태조사를 고용·자금·산업시설 등 전경제지표로 확대하고 조사단위도 시·도에서 시·군으로 세분화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