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협중앙회 발족 30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4백93개 전업종가입 최대단체로/정치권순치·파벌조성등 자성론도
중소기업 협동조합 중앙회가 14일로 발족 30돌을 맞는다.
62년 5월 서울 관철동 허름한 건물의 한 귀퉁이를 빌린 단칸사무실이 여의도광장옆 지상9층 연건평 1만2천평의 초대형건물(86년 준공)로 변모했고 회장포함,9명에 불과했던 직원은 2백47명으로 늘어났다.
예산은 2백90만원에서 1천9백20억원으로 천문학적 증가를 했다. 소속 조합도 출발당시 36개 조합에서 현재는 4백93개로 늘어 명실공히 국내 전업종을 망라하게 됐다. 「힘없는 중소업자들이 모임」이지만 출범직후 두달만에 통화개혁으로 인한 정부의 자금동결조치를 끈질긴 건의끝에 중앙회소속 조합원에게는 예외적으로 풀도록 힘을 발휘했다. 또 66년 국회가 중소기업 재정자금 15억원 전액을 삭감시켰을 땐 집행부 전원이 중앙회 해산까지 내세우며 전원 사퇴하는 이른바 「9·21자폭사건」까지 벌일 정도로 중소기업 대표자로서의 의지를 표출시켰다.
그후 회장단이 정치권에 너무 순치되고 중앙회가 업계위에 군림,권위의식과 관료적 성향을 보인다는 지적을 받기는 했지만 중소기업육성을 위한 정책개발,기업인에 대한 지도·교육,조사연구,수출촉진지원 등에 나름대로의 노력을 기울여왔고 정부의 낙하산인사로 이뤄지던 경제단체장 선임을 처음으로 경선을 통해 선출(88년)하기도 했다. 그러나 국내 전체사업체수의 99%,종업원수의 63%,총생산액의 46%라는 중소기업의 비중은 둘째치더라도 인력난·자금난·기술부족 등으로 벼랑끝까지 몰려있는 중소기업계의 실상을 볼때 중앙회의 책임과 역할은 그 어느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중앙회는 경제5단체중 유일하게 매년 정부보조금(37억원·전체예산의 43%)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또 단체수의계약에 매달리고 있는 산하 업종별조합의 체질과 중앙회내부의 파벌에 대한 자성론이 나타나고 있다. 중앙회 관계자는 『정부의 특혜성 조치를 바라는 약자논리에서 벗어나 자생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앙회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이효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