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제2이동통신 참여경쟁/첫날 64사가 신청서 받아가 “열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동양그룹등선 컨소시엄 구성 추진
제2이동통신 사업 허가신청서가 15일부터 발부돼 제2이동통신을 둘러싼 업계의 경쟁이 본격화됐다. 정부는 오는 94년 제2이동 통신사업을 실시키로 확정하고 지난 15일부터 사업허가 신청서가 포함된 「허가신청 요령」책자를 발부했는데 이날 하룻동안 개인 4명을 포함,64개사가 신청서를 받아갔다. 64개사중에는 선경텔레콤·포스데이타 등 15개사가 이동통신 사업에,금호·고려시멘트 등 32개사가 무선호출(일명 삐삐)사업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으며 미원등 17개사는 아직 참여부문을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1개사만을 선정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등록은 오는 6월26일까지,총10개사를 선정하는 무선호출 사업자는 6월30일까지 하며 오는 8월말 최종사업자 선정을 하게된다. 이동통신과 무선호출로 구분되는 제2이동 통신사업에서 특히 관심을 끌고있는 것은 업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대어」로 일컬어지는 이동통신 사업이다.
그러나 최고권력층과 특수한 관계가 있는 선경·포항제철에 대한 특혜설등 잡음과 유언비어가 난무했으며 각 그룹들은 연초부터 대대적인 광고홍보전을 펴는등 앞으로 있을 수 있는 「특혜시비」에 대비한 「명분경쟁」을 벌이고 있다.
또 정부 일각에서는 특혜설시비를 없애고 국내업체간의 지나친 과당경쟁을 피하기 위해 업체 공동으로 추진하자는 의견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이런가운데 동양그룹은 16일 컨소시엄 구성에서 대기업의 지분을 50% 이하로 낮추고 유망중소기업체를 대폭 참여시키기로 하고 신문에 공개모집 광고를 내 주목받고 있으며 이밖에도 포철·선경 등의 기업들도 중소기업 등 많은 기업들과의 컨소시엄 구성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제2이동통신 사업은 「6공의 마지막 이권사업」으로 거론되고 있을만큼 업계의 이해가 걸려있고 사업자가 최종선정된 뒤에도 계속 잡음이 제기될 소지가 있어 정부가 사업자 선정과정을 명확히 밝혀 불필요한 잡음과 국력낭비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오체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