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당 후보 경선 그 겉과 속(사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자당의 대통령후보 경선모양이 점점 변색되어 가고 있다. 당초 내건 민주적 자유경선 원칙은 슬그머니 퇴색하고 대신 막후조정이 가미된 제한적 경선으로 흐르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원론적으로 말해 막후조정으로 결정짓든,치열한 표대결을 하든 그것은 민자당이 선택할 문제다.
그러나 지금까지 드러난 민자당의 경쟁양태는 국민의 기대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우선 경쟁의 룰이 예사로 무시되고 있고 경쟁을 둘러싼 지도자들의 말과 행동이 종잡을 수 없게 비친다.
권모술수가 지나쳐 정치혐오를 가중시키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지도자는 자기에게 불리한 약속은 언제든지 깨도 좋고,자기의 잘못은 아름답게 색칠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마키아벨리즘이 연상된다. 우선 당총재의 태도가 분명해 보이지 않는다는 견해가 당내외에 상당히 있다. 선거관리를 중립적으로 하는 것과 당총재로서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은 달라야 하지 않느냐는 얘기부터 이른바 「엄정관리」란 표면의 언명을 액면 그대로 볼 수 있느냐는 회의론까지 갖가지 억측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선두주자인 대표최고위원 역시 말에 일관성이 적은 인상을 주고 있다. 총선패배 책임론에 대한 말이 그러했고,그 주변에서 너무 배수진을 친듯한 말이 남용되는 듯 하다. 제한 경선론이다,누구는 출마하면 안된다는 논리는 당내 민주주의·자유경선이라는 명제와는 모순되는 말이다.
총선패배 책임을 통감한다며 장시간 칩거(?)하던 한 최고위원이 돌연 나타나 중재역을 자임하는 것도 국민들의 눈에 자연스럽게 비치는 사태는 아니다. 총선에서 세가 꺾인 사람이 민자당안에서는 계속 힘을 유지한다면 민자당과 국민간의 거리가 너무 분명해 보이지 않는가.
3당통합 이전의 지분을 고수하면서 민정계가 적자임을 보장받겠다는 논리도 합당의 기본 정신과는 걸맞지 않는 면이 있다. 합당의 화학적 융합은 결코 수적 놀음으로 완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민정계가 대통령의 의중만 쳐다보면서 게임논리에 주체성있게 적응하지 못하는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될만 하다. 민정계의 뉴리더들은 명분의 일관성과 보스로서의 자질,자생적 세력규합에 보다 합리성·현실성을 띠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민자당이 대통령후보 경선과정에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지도자들이 내건 명분과 실제과정이 일치해야 한다. 자유경선을 내걸었으면 실제 과정이 자유경선 다워야 하고,그렇지 못할 형편이면 그런 사정을 국민에게 분명히 한뒤 방향을 틀어야 한다. 국민과 당원이 속는 느낌을 받아서는 가장 중요한 신뢰를 잃고 말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