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액제 철회"임금 교섭 거부 투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노총은 정부가 올해부터 시행키로 한 총액 임금제 거부 결의에 따라 정부가 방침을 철회할 때까지 전국 산하 조직 사업장의 임금 교섭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노총은 23일 오전 9시 중앙 본부 국·실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노사 대책 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하고 26일께 개최될 전국 20개 산별연맹 대표자 회의의 추인을 받는 대로 전국 7천5백여개 회원사 노조에「임금 교섭 중단」지침을 시달하기로 했다.
현재 전국 7천5백여개 노조 중 정부 투자·출연 기관을 제외하고 3월말을 전후해 임금 협약 효력 기간 만료일이 끝나는 대부분의 사업장은 현재 임금 교섭을 늦추거나 교섭을 시작했더라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편 노동부는 24일 총액 임금제 대상 업체 선정이 업종·인원수를 기준으로 정해져 신발·섬유 등 노동 집약적인 저임금 사업장이 포함되는 등 비합리적으로 선정돼 있다는 지적에 따라 4월10일까지 임금 실태 조사를 끝낸 뒤 이들 저임금 사업장의 경우 기업의 특수성을 감안, 제재 또는 우대 조치 대상에서 빼기로 했다.
최승부 노동부 노사 정책 실장은 23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노총 회관 회의실에서 노총간부들과 만나『기업의 특성·노동 강도 등을 감안해 노조측과 협의를 거친 후 총액 기준 5%이내 임금 교섭 지도를 위한 세부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해 총액 임금제가 본격 임금 교섭철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