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대표가 웃는 뜻은(성병욱 칼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적 관심사이기도 하고 호기심의 대상이기도한 집권 민자당의 대통령후보 문제는 대통령 연두회견 후에도 일견 오리무중인 것 같다.
노대통령은 차기 대통령후보를 총선거후 전당대회에서 민주적 경선으로 뽑겠다면서 총선거는 김영삼 대표가 중심이 되고 두 최고위원이 협력해 치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의 회견문면으로는 분명한 것은 대통령후보의 자유경선 뿐이다. 이른바 김대표측의 후보가시화란 측면은 알쏭달쏭하게 얼버무려져 있다.
총선전 후보확정을 마지노선으로 제시했던 김대표측 요구와는 거리가 너무 멀다. 오히려 총선후 자유경선­특정후보로의 가시화반대를 내세워온 민정·공화계쪽에 기운 것처럼 보인다.
○알쏭달쏭한 가시화
이제까지 민주계측이 공언한 대로라면 지금쯤 김대표와 민주계는 보따리를 싸고 있어야 옳다. 그런데 상황은 정반대다. 김대표는 대통령회견을 전후해 협의결과에 전적으로 만족한다며 즐거운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아무리 정치인에게 쇼맨기질이 있다지만 이럴 수는 없는 것이다. 김대표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지리산행·마산행·제주행같은 배수진을 친 정면승부마저 서슴지 않던 사람이다.
사실이든,착각이든 나름의 승산없이 속은 쓰린데도 겉으로만 즐거운체 한다고 보기에는 아무래도 설명부족이다.
그러면 이 사태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우선 그때 그때 겉으로 나타나는 사태에 매이지 말고 긴 흐름의 관점에서 평가하는게 필요할 듯 싶다.
민자당내 세 계파를 피상적으로 그 크기와 지분만을 놓고 보면 민주·공화계는 민정계와 게임이 될 수 없다.
더구나 집권경험이 있어 비슷한 정서를 지닌 민정·공화계가 뱃심이 맞을 경우 민주계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상대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계파의 내부응집력과 구심점이란 요소를 고려하면 얘기는 달라진다.
민주·공화계는 확고한 구심점과 응집력을 지닌 반면,민정계는 노대통령 이외에 힘을 모을 수 있는 구심점을 아직 키워놓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선 계파가 크다는게 꼭 유리하기만 한 조건은 아니다.
더구나 4자회담과 연두회견으로 노대통령은 앞으로 민정계의 구심점을 새로이 키울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한 셈이다.
노대통령이 조정력을 행사하지 않는데도 과연 민정계내의 후보지망생들이 스스로 단일화를 이뤄 계파의 힘을 모을 수 있을까. 마찬가지로 민정·공화계의 정서가 비슷하다고 해서 특정인에 대한 공동의 반대를 넘어 과연 공동의 후보를 창출해내는 적극적인 제휴에까지 이를수 있을까.
김대표는 3당통합 이후 차기후보군에서 일단 유리한 위치인 당의 2인자지위를 줄곧 지켜왔다. 총선거도 그가 중심이 되어 치르게 되어 있으니 그로선 세를 키울 절호의 기회를 잡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세키울 유리한 고지
또 민주당의 대통령후보가 김대중 대표로 굳어가고,비교적 지명도 높은 정주영·김동길씨 등이 나설 듯한 선거판도에선 민자당도 참신성보다는 지명도를 택할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정세판단을 함직도 하다.
김대표측이 작년부터 자유경선도 좋다고 공언해온 데는 이런 요소들이 고려됐을 것이다.
그러나 순수한 의미의 자유경선에는 어쨌든 큰 위험부담이 따른다. 김대표가 그것을 모를리 없다. 그렇다면 총선후 자유경선만으로 그가 즐거울 이유는 없다. 당연히 뭔가가 더 있다고 봐야 한다.
연두회견까지의 민자당내 협의과정을 보면 당연히 주목받아야할 핵심과정이 모호하게 넘어갔다.
김대표가 공언해왔던 노대통령과 김대표의 담판이 주목받지 못했다. 대통령과 각각 세 최고위원들과의 개별협의→4자회담→연두회견으로 단순화되었다.
노­김대표 담판은 세 최고위원과의 개별협의의 하나정도로 치부될 일이 아니다. 그 담판을 기초로 두 최고위원과의 협의가 진행되고,그 결과를 4자회담에서 공식 확인해 결말지었다고 봐야하기 때문이다.
그런 사전담판없이 어찌 4자회담이 그렇게 싱거울 정도로 쉽게 끝날 수 있으며,세 최고위원의 회견배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겠는가.
내용은 알 수 없지만 그 과정에서 김대표가 납득할만한 상당수준 언질이 있었음직 하다.
이러한 집권내부의 흐름을 살펴보면 후보레이스에서 김대표가 지금 현재는 가장 유리한 위치에 서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그 앞길이 탄탄대로라고는 할 수 없다. 우선 자신이 중심이 되어 치를 총선거결과에 대한 부담이다. 전체적인 총선결과는 물론,지역적으로 연고지인 부산·경남과 중립적인 수도권의 성적까지도 곧 그의 공과로 직결될 공산이 크다. 결과가 좋으면 모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그의 유리했던 위치는 거센 도전을 받게 될 것이다.
○스스로 하기에 달려
총선결과가 아니더라도 현재의 고지를 제대로 잘 지키고 활용하느냐도 문제다. 김대표는 야당시절 네차례의 후보 및 당권경쟁을 치르면서 두번 이기고 두번 진 경력이 있다. 70년 후보지명대회와 77년 당권경쟁에서는 유리한 위치를 선점한 가운데 졌고,74년과 79년 당권경쟁에서는 권력의 탄압과 당내 열세란 악조건하에서 승리했다.
따라서 현재 고지를 선점했다는 것과 후보레이스에서 최종적 승리를 거두느냐와는 별개문제다. 결국 앞으로 그 스스로 하기에 달렸다고 볼 수 밖에는 없겠다.<본사 이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