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에 국제환경공원/「유엔 환경계획」주도… 남북 원칙동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학술·관광용개발 내달 현지조사/대책위구성 금강∼설악 연계추진
유엔환경계획(UNEP)의 주도로 한반도의 비무장지대에 국제 자연환경공원을 설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UNEP는 한반도의 비무장지대가 온대지대의 자연환경이 제대로 보존되어 있어 이를 국제공원으로 조성,학술 및 관광용으로 개발하자는 제의를 남북한 양측에 해왔으며 양측 모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뜻을 UNEP측에 전달했다고 정부의 한 소식통이 22일 밝혔다.
그는 UNEP가 이에 따라 남북한 양측에 공원조성 가능지역 및 사업추진방안등 의견서를 제출토록 요청했으며,오는 12월초 이를 근거로 UNEP관계자들이 현지조사 활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공원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마련을 위해 지난 19일 외무부·환경처·산림청등 관계기관 실무자회의를 열어 이 사업이 남북한의 교류를 촉진하고 비무장지대의 긴장을 완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적극 참여키로 하고,관계부처 합동추진대책회의를 구성키로 했다.
이 소식통은 아직까지 국제자연공원의 규모나 운영방안 등은 결정되지 않은 기초적인 구상단계에 불과하다며,초기에는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안이 마련되겠지만 사업과정에서 금강산과 설악산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공원조성계획이 추진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공원을 조성하면 수익금은 남북한 양측이 분배하고 일부는 UNEP기금으로 활용하되 자연공원을 관리하기 위한 UNEP의 사무소를 설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또 이 공원으로 이어지는 도로등 접근 시설에 대한 구상도 함께 마련,계획서에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들자는 제의는 남북한이 모두 이미 내놓은 상태지만 이번 계획은 남북한이 함께 회원국으로 참가하고 있는 유엔의 보조기관에서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비무장지대는 지난 40년동안 민간인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아 온대지역중 가장 생태계의 보존이 잘되고 있어 학술적인 연구가치가 높을뿐 아니라 이미 남북한이 각각 제안한 관광개발계획이 있어 양측이 공동 관광자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