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차 846량 증차|입석버스 좌석전환 허용키로|서울시 교통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서울시내 버스업체의 운전사 구인난을 해소키 위해 버스운전사연금조합이 설립되고 자녀학자금지원제등 복지제도가 확충된다.
또 각 버스업체가 운전사를 확보, 현재 운휴중인 일반버스의 일정대수를 재운행할 경우 그중 일부는 좌석버스로의 전환이 허용된다.
이와 함께 95년까지 지하철1∼4호선에 모두 8백46량의 전동차가 추가 도입되고 승강장입출구의 자동 개·집표기(AFC)가 개·집표속도가 빠른 신형으로 교체된다.
서울시는 9일 운전사부족에 따른 버스업체의 잇따른 운휴사태 및 지하철·버스등 대중교통의 승차난을 해소키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대중교통수송력 증대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버스회사가 운전기사부족으로 운행을 중단시키고 있는 1천1백37대(전체의 17.6%)의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이중 65%인 7백34대를 재운행할 경우 나머지 4백3대에 대해 모두 좌석버스로의 전환을 허용키로 했다.
시는 7백34대의 버스가 재운행될 경우 배차간격이 10분 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특히 시내버스 운전사들의 고속버스·화물차로의 잇따른 이직에 의한 버스업체의 심각한 운영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키 위해 ▲버스운전기사 연금조합 설립 ▲전·월세금 융자알선 ▲자녀학자금 지원제 확대등 복지제도의 시행과 함께 임금수준을 높이기 위한 버스요금인상도 검토중이다.
시는 이와 함께 지하철1∼4호선에 연말까지 3백36량의 전동차를 투입하고 92년 2백2량, 93년 98량, 94년 80량, 95년 1백30량등 모두 8백46량의 전동차를 연차적으로 추가 투입, 러시아워대의 혼잡도를 현재의 2백50%에서 2백%로 낮추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