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결의안 놓고 한·일 장외대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미주지역의 한인 단체들이 일제의 위안부 동원 비난 결의안의 미국 의회 통과를 지원하는 전화걸기 운동에 들어간 가운데, 일본 정부는 이를 저지하기 위한 로비를 갈수록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미주한인 봉사교육단체 협의회를 비롯한 한인단체들은 15일(현지시간) 미 하원 건물에서 열리는 위안부 결의안 관련 청문회 개최에 맞춰 결의안 발의자인 마이크 혼다(캘리포니아) 의원과 톰 랜토스 외교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감사의 뜻을 전하는 전화걸기 운동을 시작했다. 이 단체들은 한인들이 두 의원에게 전화를 걸어 결의안 상정에 애써준 데 감사하고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라고 요청했다.

이미 재미한국청년연합.한겨레동포연합.민족학교.청년학교.한인교육문화마당집 등 많은 단체가 이 운동에 동참했다.

일본 측은 반대 로비 중이다. 가토 료조(加藤良三) 주미 일본대사는 12일 미 하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인 일리나 로스레티넨 의원을 방문해 "결의안은 미.일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통과를 위한 첫 단계인 심의(mark up)도 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고 워싱턴 소식통이 전했다. 이에 로스레티넨 의원은 "생각해 보겠다"고만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에는 결의안 발의자 중 한 명인 다이앤 웟슨(민주.캘리포니아) 의원실에 일본의 로비스트가 방문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이들을 포함해 외교위 소속의원 48명 전원을 상대로 일본 대사관 직원들과 로비스트들이 결의안 저지 로비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를 위해 14년간 공화당 원내대표를 지낸 밥 마이클에 이어 워싱턴 유력 법률회사의 일급 로비스트 등 3명을 추가로 동원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들은 결의안 통과의 첫 관문인 외교위원회 산하 아태소위 소속 의원 12명을 거의 다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일본의 집권 자민당은 의원 여러 명을 미국으로 보내 하원의원들에게 결의안 거부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10일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