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약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레닌시대>(1917∼22년)
▲17년 11월7일 「10월 혁명」으로 소비예트정권수립.
▲19년 레닌주도로 국제공산당 기관인 코민테른 결성.

<스탈린시대> (∼53년)
▲22년 러시아공산당 서기장에 취임, 소비예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수립.
▲24년 레닌사망.
▲36년 「스탈린헌법」에 따른 소련사회주의 국가모델을 제시.
▲39년 발트해공화국과 루마니아의 몰다비아공화국합병.
▲45년 얄타회담.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후 동유럽을 포함한 사회주의권을 구성해 국제공산주의 운동이 최고조에 달함.
▲53년 스탈린 사망, 흐루시초프 집권.

<흐루시초프시대> (∼64년)
▲56년 제20회 당대회에서 스탈린의 개인숭배를 비판.
▲59년 미국을 방문, 대미관계의 안정을 꾀했으나 쿠바위기(62년)로 좌절.
▲64년 농업정책및 당기구개혁 실패로 실각. 브레즈네프 집권.

<브레즈네프시대> (∼82년)
▲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 군을 투입,「프라하의 봄」을 좌절시킴.
▲79년 아프가니스탄 침공.
▲82년 브레즈네프 사망으로 안드로포프 공산당서기장직 계승.

<안드로포프시대> (∼84년)
▲노동규율 강화와 자주성확대를 위한 경제개혁 계속.

<체르넨코시대> (∼85년)
▲법으로 지도력이 약해지는 바람에 개혁지향의 주장이 지식인및 군인들에게서 강하게 제기.

<고르바초프시대>
▲85년 고르바초프, 공산당서기장으로 선출.
▲86년 제27차 당 대회에서 사회·경제개혁을 위한 페레스트로이카(개혁)제창. 글라스노스트(공개)와 함께 고르바초프정부의 목표가 됨.
▲89년 인간을 위한 사회주의 지향 천명. 동유럽공산정권 붕괴.
▲90년 공산당 일당독재 포기와 대통령제 도입을 규정한 헌법개정. 고르바초프, 독일통일에 동의.
▲91년 보리스옐친, 러시아공화국대통령으로 취임. 보수파 쿠데타실패. 공산당 해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