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꿈나무] 고조선은 잊어라, 한국사는 신라부터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민족인가, 국가인가?
이종욱 지음, 소나무, 336쪽, 1만8000원

니체는 역사를 기념비적, 골동품적, 그리고 비판적 방법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각각 찬미, 회고, 반성을 뜻한다. 지은이는 철두철미하게 세번째 방법을 취한다. 단 그가 초점을 맞춘 것은 역사 자체가 아니라 '사학의 역사'다. 따라서 이 책은 역사서라기보다 역사학 서적인 셈이다.

지은이는 작심하고 국사 교과서의 근간을 흔든다. 학교에서 배운 국사 지식이 전부라면 적잖은 혼란과 충격을 각오해야 할 정도다.

초반부터 논쟁적인 질문을 던진다. 단군이 어떻게 한민족의 시조가 될 수 있느냐고. 또 요즘 드라마에서 뜨는 주몽.연개소문.대조영의 피가 과연 한국인에게 얼마나 이어졌겠느냐고.

지은이는 한국사의 출발점을 고조선으로 '믿는' 주류 사학에 도전한다. 고구려의 적통성도 부정한다. 신라에 의해 정복돼 망한 뒤로 역사의 뒤로 사라졌으며, 그 정체성도 신라로 흡수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발해는 말갈의 역사라고 단언한다.

대신 한국사는 신라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김.이.박 등 한국인의 절반이 넘는 성씨들이 신라인을 시조로 한다는 게 근거다. 신앙처럼 굳어진 단군 시조론이나, 가슴 벅차오르는 고구려의 서사시는 '대본'이요, '발명품'이라고 공격한다. 이는 이데올로기에 가까운 민족사라는 것이다.

지은이는 민족이라는 화장을 지우고 국가를 중심으로 한 한국사를 재정립하자고 촉구한다. 이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으면서도 민족이라는 명분에 밀려 흐물흐물해진 우리의 국가의식과 정치의식을 바로잡는 길로도 통한다. 서강대 사학과 교수인 지은이는 독자적인 시각으로 주류 사학계와 자주 논쟁을 벌여왔다.

남윤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