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 새 연구소장 임창생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지난번 안면도 사태의 교훈을 살려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는 공개원칙아래 국민의 공감대와 해당지역 주민의 동의를 얻은 후에 결정해야할 것입니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제11대 소장으로 최근 취임한 임창생 박사(51)는 부지선정이 최대의 현안과제라고 밝히고 후보지역 실정에 맞는 지역협력사업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동의하도록 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금년 말까지만 부지가 선정되면 95년(영구처분장) 또는 97년(사용 후 핵연료 중간저장시설)까지 예정대로 건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아무리 바빠도 안정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 소장은 연구소의 경영목표를 ▲세계적 수준에 이르고 ▲생산성 높으며 ▲훌륭한 업적을 내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2중적인 행정조직 등 비생산적 요인을 과감히 제거하는 방향으로 인력을 재배치하겠으며 사업분야 근무자에게는 책임경영을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원자력분야의 주요한 핵심기술이 완전히 자립된 상태가 아니고 현재 확보된 인력도 부족한 형편이므로 연구소가 맡고있는 사업과 연구를 별도기관으로 분리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일부에서 주자하고 있는 분리론을 반박했다.
임 소장은 원자력을 「기술집약형·미래지향적 에너지」라고 설명하고 원자력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곧 국가에너지 자립의 첩경이라며 핵연료·원자로·안전에 대한 기술개발과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의 확립에 연구목표를 두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핵연료 주기기술과 신형원자로 개발에도 주력하겠으며 특히 발전용 원자로계통 설계사업과 함께 경수로용 핵연료를 중수로형 핵연료로 재활용하는 한국·미국·캐나다 공동연구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임 소장은 『최근 들어 국민들이 원자력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안전성에 대해서는 막연하나마 불안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며 국민의 이해와 합의를 얻기 위한 국민이해사업을 보다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종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