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상한제로 아파트브랜드 '위기'

중앙일보

입력

민영아파트 분양가 상한제가 오는 9월로 다가옴에 따라 브랜드 관리 방안이 주택업계의 새로운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대형 주택업계는 그동안 공들여 차별화해온 각 사별 브랜드가 하향 평준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부가 분양가를 인위적으로 통제하면 무주택 실수요자의 주거 충족을 꾀할 수 있지만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주택을 공급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공사 과정에서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는 마감재 품목 등에 소홀할 수밖에 없다는 것.

정부가 보완책으로 선택사양제(마감재 옵션제)를 들고 나올 수 있지만 집값 인하의 거센 압력 앞에 얼마나 실효성 있는 정책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곳은 현대건설. 이 회사는 지역 최고 가치의 아파트를 짓겠다는 포부를 갖고 '힐스테이트' 브랜드를 지난해 하반기 런칭했다.

마감 수준과 내부 시설의 최고급화를 추구하는 만큼 직접공사비가 힐스테이트의 플러스형은 350만원, 기본형은 320만~330만원, 마이너스형은 300만원 정도 든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는 정부가 고시하는 기본형 건축비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직접공사비에 간접공사비, 부대비, 설계비, 감리비를 포함한 기본형 건축비는 372만원(중대형 평형)이다.

회사 관계자는 "공사비를 똑같이 써 아파트를 지으면 회사별 비교 우위가 없어진다"면서 "수백억원을 들여 브랜드를 개발했지만 남들보다 잘 지을 확신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GS건설도 '자이'를 통해 단지 외관과 조경시설, 입주민공용시설 등을 차별화했지만 정부가 분양가를 통제하면 이 같은 고급화에 엄두를 못낼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는 최악의 경우 '자이'브랜드를 해외 주택 사업에만 특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래미안' 브랜드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삼성건설의 주택 담당 임원도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주거 만족을 위해 더 질좋은 주택으로의 상향 이동하는 수요가 크게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동부건설 김경철 상무 역시 "줄어든 공사비에 맞추기 위해 우선 경제적 설계나 원가 절감에 신경쓰겠지만 이 마저 여의치 않으면 빌트인냉장고와 같은 고급 마감재를 줄이는 방법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주택업계가 브랜드 경쟁을 펼치기 시작한 것은 지난 98년 분양가가 자율화되면서부터다. 그 전 분양가 원가 연동제 시행시의 주택정책 최우선 목표는 가격 안정이어서 다른 가치들은 상대적으로 등한시돼왔다.

때문에 외관과 내부구조에 차이가 없는 천편일률적인 아파트가 양산됐고 입주자들은 따로 돈을 들여 내장재를 바꾸는 등 낭비요인이 적지 않았다.

이런 문제점이 불거지고 건설경기가 급랭하자 정부는 지난 98년 분양가 자율화를 시행했고, 업계는 이에 맞춰 차별화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분양가 자율화로 주택시장이 공급자 위주에서 수요자 위주로 바뀐 탓에 다른 업체 아파트보다 나은 아파트를 공급하려는 차원에서 브랜드가 도입됐다"면서 "다시 과거로 시계추를 되돌리면 업체간 품질 경쟁 역시 후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