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증권가등 모이면 쑤군쑤군… 수서 유언비어 춤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찜찜한 수사”여파/사회불안… “조기 매듭”여론/사건 배경·정치자금 액수등 다양
수서의혹사건과 관련,학원가·증권가를 중심으로 근거없는 소문·풍문들이 꼬리를 물고 나돌아 민심을 흐트러뜨릴뿐 아니라 새로운 사회불안요인이 되고 있다.
이같은 유언비어성 소문들은 한결같이 진원지가 밝혀지지 않은채 흥미나 호기심만 불러일으키고 있는 데 검찰수사가 의혹을 완전히 풀지 못했다는 여론에 힘입어 더욱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다.
이에 대해 검찰·경찰은 22일 이처럼 근거없는 소문이 난무하는데는 사회혼란을 노리는 불순분자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일제단속을 펴기로 했다.
수서사건을 둘러싸고 나도는 갖가지 풍문의 핵심은 이 사건이 터진 배경과 정당에 전달된 로비·정치자금 대상 및 액수,해결과정의 묵계설 등이다.
사건의 배경으로는 여당내 새로운 주류세력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여야의 특정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수서의혹사건을 조종하고 있다는 내용이 대부분.
이같은 소문뒤에는 여당의 주류세력이 ▲노태우 대통령 집권후반기의 누수현상을 막고 ▲김대중·김영삼씨를 뇌물수수로 몰아 제거하며 ▲민정·공화계가 제휴,결속을 다지고 ▲사이가 나쁜 박세직 전 서울시장을 매장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그럴듯한 설명들이 붙어다닌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 민자당 주류세력은 자신의 정치적 입지강화를 위해 앞으로 이와 비슷한 비리사건을 몇번 더 터뜨릴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로비대상·정치자금 액수 등에 관한 근거없는 소문도 많아 구속된 장병조 전 비서관이 자신의 치부보다 배후인사의 재산관리 때문에 저지른 범죄라는 설에서부터 정태수 회장의 비자금 3백억원중 2백억원은 정부쪽,1백억원은 정치권에 뿌려졌다는 소문까지 있다.
특히 평민당·민자당 고위간부에 대한 자금수수설도 1백억원에서부터 30억원·20억원·10억원 등 엄청난 액수와 함께 멋대로 나돌고 있다.
이에 대해 재야법조계에서는 『특정인에 대해 근거없는 소문을 퍼뜨리는 것은 언어폭력이기 때문에 삼가야 한다』고 지적하고 검찰수사가 의혹을 남기지 않을 경우 이같은 허황된 풍문은 사라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