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착륙 싱가포르항공기, 62초간 두 번 급상승·하강했다”

중앙일보

입력

난기류에 비상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 EPA=연합뉴스

난기류에 비상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 EPA=연합뉴스

지난 21일 난기류를 만나 태국 방콕에 비상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가 사고 당시 약 1분 사이 두차례 급상승·하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현지 매체 스트레이츠타임스는 항로 추적 웹사이트 ‘플라이트 레이더24’의 상세 비행 자료를 인용해 런던발 싱가포르행 SQ321편이 극심한 난기류에 62초간 크게 두 차례 빠르게 치솟았다가 강하했다고 보도했다.

고도 3만7000피트(1만1278m)에서 순항하던 여객기는 이 구간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3만7400피트(1만1400m)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진 뒤 정상 고도를 되찾았다.

짧은 시간 급격히 흔들렸지만 고도상으로는 약 400피트(122m) 범위에서 움직인 셈이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내용과는 차이가 크다.

사고 직후 외신들은 플라이트 레이더24 등의 초기 자료를 활용해 여객기가 3분여만에 정상 고도에서 6000피트(1800m) 급강하했다고 전했다.

스트레이츠타임스는 기내에서 벌어진 대혼란이 실제로는 고도 자체의 변화보다는 짧은 순간에 급상승·하강이 벌어지면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분석도 당국의 공식 조사 결과는 아니다.

싱가포르 당국은 사고기가 있는 방콕으로 교통안전조사국 조사관을 보내 사고 원인 분석에 착수했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도 조사 지원을 위해 기술 자문관 등을 파견한다.

방콕에 비상착륙한 보잉 777-300ER 기종 여객기에는 승객 211명과 승무원 18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기내에서 영국인 1명이 사망했으며, 사인은 심장마비로 추정된다.

부상자는 85명으로 집계됐으며 상당수는 두개골과 뇌, 척추를 다쳤다.

24일 기준 방콕에서 치료 중인 탑승자는 승객 44명과 승무원 2명 등 46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