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혁신·포용” 윤 대통령, AI 거버넌스 3원칙 제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G7과 싱가포르, 호주의 정상급 인사가 참여해 화상으로 열린 AI서울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G7과 싱가포르, 호주의 정상급 인사가 참여해 화상으로 열린 AI서울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에서 화상으로 개최된 ‘AI(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에서 안전·혁신·포용이란 AI 거버넌스의 3원칙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 개회사에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AI의 안전·혁신·포용을 조화롭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AI 서울 정상회의는 글로벌 차원의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1~22일 열리는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 세계 주요 정상들이 영국 브레츨리 파크에 모여 AI의 잠재적 위험성을 경고했던 제1차 ‘AI 안전 정상회의’에 이은 두 번째 AI 정상회의다. 윤 대통령과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공동 주최했으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주요 7개국(G7)과 호주·싱가포르에서 정상급 인사가 참석했다. 지난해 1차 회의의 핵심 키워드였던 안전에 더해 AI의 혁신과 포용의 필요성을 어젠다로 추가했다는 것이 이번 회의의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된다.

윤 대통령은 “먼저, AI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우리 사회의 안녕과 민주주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AI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안전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AI가 가진 커다란 잠재력을 구현해내기 위해서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AI의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거주지역과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누구나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AI의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AI 거버넌스의 3원칙을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의 등장에 대한 기대와 우려도 나타냈다. 윤 대통령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AI 기술이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하면서,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며 “AI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딥페이크를 통한 가짜뉴스와 디지털 격차 등 AI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2022년 9월 뉴욕 구상, 2023년 6월 파리 이니셔티브와 9월 디지털 권리장전 등을 통해 AI의 디지털 규범 정립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은 국경을 넘어 초연결성을 지닌 만큼, 글로벌 차원의 디지털 규범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정상회의에선 협의 끝에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선언’과 ‘AI 안전 과학에 대한 국제 협력을 위한 서울의향서’ 합의문이 도출됐다. 이른바 서울선언에는 AI의 안전·혁신·포용성은 상호 연계된 목표로서, AI 거버넌스에 대한 국제 논의에 우선순위로 포함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서울의향서에선 AI 안전연구소를 포함해 공공 또는 정부 지원 기관을 설립하거나 확장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격려한다는 점이 포함됐다.

이번 회의엔 주요국 정상 외에도 유엔과 유럽연합(EU),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 수장과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 네이버 이해진 창립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글로벌 AI 기업의 주요 인사들도 초청됐다. 이재용 회장은 회의에서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만들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회의 이틀 차인 22일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미셸 더넬런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이 공동으로 대면 세션을 주재한다. 외교부와 과기부가 공동 주최하는 AI 글로벌포럼도 열린다. AI 3차 정상회의는 프랑스에서 열릴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