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오르니 매매값도 ‘들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년째 오르고 있다. 아파트 매매값도 두 달째 상승 곡선을 그린다. 전셋값이 매매값을 밀어 올리는 모양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일주일 전보다 0.07% 올랐다. 지난해 5월 넷째 주 이후 52주 연속 올랐다.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5월 이후 네 번째로 긴 상승 기간이다. 매매가격지수 역시 일주일 전보다 0.03% 오르면서 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요즘처럼 매매값보다 전셋값이 더 오르면 둘의 차이가 줄어든다. 이를 전세가율(매매값 대비 전셋값)로 나타내는데,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기준 54.5%로 지난해 말(53.7%)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전셋값 상승이 이어질 경우 전세 대기 수요의 매매 전환이 이뤄진다. 계속 오르는 전셋값을 부담할 바에 집을 사겠다는 심리가 작용하는 것이다. 전세가율이 상승하면 갭투자(전세를 끼고 매수) 등 투자심리도 높아진다. 결국 전셋값 상승은 매매값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이 1년째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값도 상승 조짐을 보인다. 부동산원의 주간 매매가격지수는 두 달째 상승세고, 실거래가지수 역시 지난 1월 이후 3개월 연속 상승(0.29→0.60→0.21%)하고 있다.

얼어붙었던 매수 심리가 회복하면서 거래량도 늘어났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8.0으로 한 달 전보다 5.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12월 99.6으로 100을 밑돌던 지수는 올해 1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4개월 연속 상승했다. 지난 1분기(1~3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건수는 9016건으로 지난해 4분기(10~12월) 5834건보다 54.5% 증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