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오창·경남 창원, 디지털 혁신거점으로 조성한다

중앙일보

입력

오창혁신지원센터('24년 12월 준공). 사진 과기정통부

오창혁신지원센터('24년 12월 준공). 사진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충북 오창 과학산업단지와 경남 창원 디지털 혁신밸리를 대상으로 올해부터 3년간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지원 사업에 착수한다고 13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과기부가 지난해 발표한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에 따른 핵심사업 중 하나다. 디지털 생태계로의 성장 잠재력을 갖춘 지역 내 최적입지를 선정, 디지털 기업과 인재 성장거점의 초기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정된 지역에는 3년간 총 63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지자체가 자율성을 갖고 특화 성장전략 수립 및 거점의 브랜드화, 디지털 인프라의 집약적 구축을 통한 앵커시설 기능 강화, 거점 내 미래 앵커기업 육성을 위한 기업 밀착형 과제 지원 등을 추진한다.

신도시 오창은 평균 34.4세의 청년인구 유입과 이차전지·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는 점, 창원은 인구 100만 명의 창원특례시 상업중심지에 위치하는 점과 창원국가산단이 도보 거리에 있는 점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충북도는 오창 과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IT 제조기업의 연구개발센터 유치와  반도체·이차전지 등 지역 특화 첨단산업에 클라우드·AI 기술을 공급하는 디지털 기업 유치와 육성에 착수한다.

수도권의 주요 첨단산업 거점(판교테크노밸리 등)과 1시간 거리에도 비교적 임대료가 싸다는 강점을 살려 디지털 기업의 이전·유치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 충북도는 오창과학산업단지에 2027년 준공 예정인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핵심 인프라로 활용해 AI 반도체 부품·소재 등 첨단 IT 제조기업을 육성하고, 수도권의 SW·AI 기업 생태계와 연계를 강화해 첨단 제조업과 SW·AI의 융합을 선도하는 디지털 생태계를 육성한다.

경남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계획 개념도. 사진 과기정통부

경남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계획 개념도. 사진 과기정통부

경남도는 창원 국가산단 인근 경남 디지털 혁신밸리에 디지털 기업과 인재를 집적하고 AI·메타버스 등 기술을 공급하는 거점으로 조성해 올해로 지정 50주년을 맞은 창원 국가산단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경남 디지털 혁신허브(산학융합원 캠퍼스관 등)를 메인 앵커시설로 활용·구축한다. 또 임차료 100원 공유오피스, 제조현장 문제해결형 디지털 혁신 과제 등을 통해 수도권 디지털 기업(R&D센터, 지사 등) 유치와 지역 풀뿌리 디지털 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향후에는 지상 25층 규모의 대형 앵커시설인 경남 디지털 혁신타운을 건립하여 거점 내 디지털 생태계의 랜드마크로 운영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 경남도는 경남 디지털 혁신밸리를 중심으로 권역 내 디지털 전환 수요처(진주·사천-항공·우주, 김해-의료기기·헬스케어)를 연결하고, 지난해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부산 센텀시티까지 연결고리를 확장해 동남권 디지털 거대 경제권으로 육성해나간다는 목표다.

이 기사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