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칩스법 덕에…미국, 2032년 첨단 반도체 생산 2위국 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흔들리는 K반도체

2032년에는 10나노미터(㎚·1㎚=10억분의 1m) 이하 첨단 반도체 4개 중 1개 이상은 미국에서 만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현재 31%인 한국의 첨단 반도체 생산 글로벌 점유율은 한 자릿수대로 뚝 떨어질 전망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8일(현지시간) ‘반도체 공급망의 새로운 회복 탄력성’ 보고서를 내고 2022년 0%였던 미국의 10나노 이하 첨단 반도체 점유율이 2032년에는 28%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대만에 이어 미국이 전 세계에서 첨단 반도체를 두 번째로 많이 생산하는 나라가 되는 것이다.

2022년 기준 10나노 이하 첨단 반도체는 한국과 대만 오직 두 나라에서만 3대 7 비율로 생산됐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후에는 두 나라 생산분의 일부가 미국·일본·유럽·중국으로 분산된다. 미국(28%) 외에 유럽·일본·중국도 2032년엔 각각 6%, 5%, 2%로 첨단 반도체 생산 점유율을 확보한다. 동아시아 2개국에 집중된 첨단 반도체 생산기지를 자국으로 유치하려는 각국의 노력이 이어진 영향이다. 대만의 점유율은 69%에서 47%로 20%포인트 이상 줄지만, 1위 자리는 지킬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한국의 첨단 반도체 생산 점유율이 2022년 31%이지만 10년 만에 9%로 줄어들 것으로 봤다. 미국이 2위로 올라서며 한국은 3위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최선단 공정인 3나노를 포함한 10나노 이하급 첨단 반도체를 현재 국내에서만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의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장이 완공되는 2026년부터는 2나노 및 4나노 반도체 양산이 미국에서 시작된다. 2027년에는 테일러에 지을 제2 공장도 가동된다. SIA는 삼성전자의 첨단 반도체 제조 상당 부분이 화성·평택 등에서 테일러로 이전할 거라 전망한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생산능력(CAPA·케파) 증가율 역시 미국이 압도적이다. 미국은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케파가 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후 2032년까지 10년 동안 203%, 즉 3배가량 증가해 미국은 세계에서 케파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로 꼽혔다. 보고서는 미국의 칩 생산능력이 괄목할 만큼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로 2022년 제정된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을 꼽았다.

미국 정부가 칩스법을 앞세워 미국 내 설비 투자를 장려하자 인텔 등 미국 기업과 삼성전자·TSMC 등 해외 반도체 기업의 투자가 급증했다. 미 정부는 반도체 생산 보조금 390억 달러와 연구개발(R&D) 지원금 132억 달러 등 모두 527억 달러(약 75조5000억원)를 내걸고 투자를 적극 유치했다. 보고서는 “칩스법이 없었다면 미국의 점유율은 2032년 8%로 떨어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국, 반도체 전체 점유율은 확대=전체 반도체 시장 내에서 한국의 생산 점유율은 2032년 19%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눈에 띈다. 2022년엔 17%였다. 보고서는 2032년 한국이 대만(17%)을 제치고 중국(21%)에 이어 전 세계 두 번째로 반도체를 많이 생산하는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