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산대병원 교수 사망, 전공의 공백 여파?...노동청이 수사한다

중앙일보

입력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공백 사태가 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18일 오후 지방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 등이 병원 내부를 이동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공백 사태가 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18일 오후 지방의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 등이 병원 내부를 이동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 후 공백을 메우던 부산지역 대학병원 안과 교수가 숨진 것과 관련, 노동청이 수사에 나섰다. 늘어난 업무량 등이 사고에 영향을 줬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최근 사망한 부산대병원 40대 교수 A씨 사망 경위를 수사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4일 오전 4시30분쯤 집에서 호흡과 맥박이 없는 채 쓰러진 상태로 가족에게 발견됐다. 그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부검결과 사인은 뇌출혈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대병원에 따르면 A씨는 안과 교수로 근무했다. 지난달 의료계 집단행동 국면에 이 병원 안과에서는 전임ㆍ전공의 14명이 병원을 떠났다고 한다. A씨는 동료 교수 11명과 함께 외래 진료를 포함해 주 1~2회 당직 등 근무를 해왔다. 다른 과 분위기도 마찬가지여서 교수를 포함해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 피로가 누적됐다. 신용범 부산대병원 교육연구실장(재활의학과 교수)은 지난달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교수들이 전공의 공백을 메우며 무기한 버틸 수 없다. 이런 상황이 길어지면 불행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걱정했다.

연일 계속되는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군의관과 공중보건의까지 의료 현장에 투입된 가운데 지난 12일 서울 시내의 한 병원에서 내원객이 접수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연일 계속되는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군의관과 공중보건의까지 의료 현장에 투입된 가운데 지난 12일 서울 시내의 한 병원에서 내원객이 접수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노동청은 우선 전공의 이탈로 인해 높아진 업무 강도가 A씨 사망에 직접 영향을 줬는지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노동청은 지난 25일 한 차례 부산대병원을 방문해 전공의 이탈 전후 A씨 근무 여건 변화 등을 파악했다. A씨 사망 경위를 조사한 경찰에서도 검안 내용 등을 건네받았다.

초동 수사에서는 개인 질병과 과로 등 외부 요인 중 어느 쪽이 A씨 사망에 더 큰 영향을 줬는지, 사업주가 산재 예방을 위한 의무를 적절히 이행했는지 등을 파악한다. 노동청이 산업재해로 판단한다고 해서 곧장 사업주 처벌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

노동청 관계자는 “초동 수사는 산재지도예방과가 진행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 향후 광역중대재해수사과로 배정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료 현장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다. 언론도 과로로 인한 A씨 사망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어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려는 것”이라며 “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추락사 등 다른 사건과 비교하면 (A씨 사안은) 객관적 자료를 모으고 판단을 내리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신속하게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산대병원 교수진과 의대생 등 70여명이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 양산캠퍼스에서 정부에 조건 없는 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송봉근 기자

부산대병원 교수진과 의대생 등 70여명이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 양산캠퍼스에서 정부에 조건 없는 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송봉근 기자

지역 의료계에선 A씨 사망을 추모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A씨 사망에 대해 동료 교수들이 공식 의견을 내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대 의대 교수협의회 관계자는 “유족이 A씨 사망 공론화를 최대한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성명서 등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