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계대출 죄자 기업대출 향한 은행…불황에 부실 확대 조짐도

중앙일보

입력

최근 은행권의 기업대출 영업이 확대하자 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업 경기 회복세가 더딘 가운데 고금리 장기화 타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기업이 늘면서다. 기업 대출 부실이 은행권 건전성 악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시중은행이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대출 중 부실채권(NPL) 비율이 크게 높아지는 추세다. KB국민은행은 기업대출 중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 비율이 지난해 말 기준 0.42%라고 공시했다. 전년(0.26%)보다 0.16%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하나은행도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1년 사이 0.24%에서 0.29%로 높아졌다. 18일 공시를 앞둔 신한은행에서도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나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은행의 경우 2022년과 지난해 모두 0.23%대를 유지했다.

지난해 기업대출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가계대출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업보고서가 공시된 KB국민‧하나‧우리은행의 기업대출은 587조9772억원인데, 이중 고정이하여신이 1조8593억원으로 0.32%를 차지한다. 반면 가계대출 총액 432조1484억원 중 고정이하여신(7399억원)은 0.17%를 차지한다.

은행권이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하는 가운데, 경기 불황에 대출을 감당하기 어려운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대출 부실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 기업대출은 지난해 말 1247조7000억원으로 전년(1170조3000억원) 대비 6.6% 늘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증가율(3.5%)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달 은행 기업대출은 한 달 사이 8조원 늘어난 1262조4000억원을 기록해, 2월 기준으로는 2021년 2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대책이 강화하면서 가계대출 잔액을 늘리기 어려워지자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하게 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고금리 장기화에 대출을 감당하기 어려운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4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1년 사이 나란히 상승세를 보였다. 하나은행이 2022년 말 0.23%에서 지난해 말 0.29%로 0.06%포인트 올랐고, 신한은행(0.23%→0.27%)과 우리은행(0.23%→0.24%), 국민은행(0.12%→0.19%)도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런 추세는 한동안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내수 부진에 경기 회복세가 더뎌지면서 기업 체감 경기는 여전히 좋지 않은 상태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8(전체 산업 기준)로,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해 3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7포인트) 부진이 크게 나타났다.

기업 대출 부실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적극적인 건전성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지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부채위험이 증가하면 금융권 부실이 증가하고 거시건전성이 악화해 자본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기업의 자구 노력과 금융사 및 금융당국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