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국립 중앙ㆍ민속ㆍ한글 박물관,서울시립미술관 등 11곳‘우수’

중앙일보

입력

지난 1월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에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가 설치돼 있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는 높이 8m, 너비 2.6m 규모로, 한학자 청명(靑溟) 임창순(1914~1999)이 소장했던 원석 탁본을 토대로 빠진 부분을 보완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역사의 길'에 LED 미디어 타워를 설치해 광개토대왕릉비를 디지털 영상으로 재현하고, 고구려실에는 지난해 확보한 원석탁본 청명본을 처음 전시했다. 뉴스1

지난 1월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에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가 설치돼 있다.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는 높이 8m, 너비 2.6m 규모로, 한학자 청명(靑溟) 임창순(1914~1999)이 소장했던 원석 탁본을 토대로 빠진 부분을 보완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역사의 길'에 LED 미디어 타워를 설치해 광개토대왕릉비를 디지털 영상으로 재현하고, 고구려실에는 지난해 확보한 원석탁본 청명본을 처음 전시했다. 뉴스1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박물관과 공립미술관 운영을 평가한 결과, 각각 33개관과 40개관을 인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따라 등록 후 3년이 지난 국립박물관 49개관과 공립미술관 67개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 중 기관 운영 등에 대한 평가 항목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받은 곳이 인증받았다.

평가는 ▶설립목적의 달성도 ▶조직ㆍ인력ㆍ시설 및 재정관리의 적정성 ▶자료의 수집 및 관리의 충실성 ▶전시 개최 및 교육프로그램 실시 실적 ▶공적 책임 등 5개 범주(13개 지표)에 대해 이루어졌다.

국립박물관 평가 인증기관 목록 ( 연번 순)

국립박물관 평가 인증기관 목록 ( 연번 순)

평가 결과, 총점 70점을 넘은 국립박물관 33개관(인증률 67.3%)과 공립미술관 40개관(59.8%)을 최종 인증기관으로 선정했다. 이 중 총점이 90점 이상인 국립박물관 8개관과 공립미술관 3개관은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인증 박물관ㆍ미술관은 옥외 간판과 각종 문서, 홍보물, 박물관 또는 미술관 누리집 등에 해당 인증 사실과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하피첩', '박래욱 일기' 등과 같이 지난 30년 동안 박물관이 수집한 소장품을 정리한 도록 '유물 수집 30년'을 펴냈다고 지난 1월 31일 밝혔다. 사진은 박래욱 일기.사진 국립민속박물관= 연합뉴스

국립민속박물관은 '하피첩', '박래욱 일기' 등과 같이 지난 30년 동안 박물관이 수집한 소장품을 정리한 도록 '유물 수집 30년'을 펴냈다고 지난 1월 31일 밝혔다. 사진은 박래욱 일기.사진 국립민속박물관= 연합뉴스

우수 국립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해양유물전시관)이고, 우수 공립미술관은 서울시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등이다.

공립미술관 평가 인증기관 목록(연번 순)

공립미술관 평가 인증기관 목록(연번 순)

국립박물관 평가인증에서 국립박물관 전체의 ‘전시 개최 및 교육프로그램 실시 실적’ 달성도는 84.1%로, 대부분 기관이 코로나 19 상황임에도 온라인 서비스 등을 제공해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공적 책임’ 달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71.1%로 나타나, 국립박물관의 국립기관으로서의 상생 협력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보였다.

또 공립미술관 평가인증에서 공립미술관들은 ‘전시ㆍ교육’, ‘공적 책임’ 등에서 79%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나, 나머지 3개 범주는 70%대 이하의 평가를 받았다. ‘조직ㆍ인력ㆍ시설’은 64.6%로 가장 낮아 여전히 전문인력 증원을 비롯해 시설과 예산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평가 결과를 토대로, 문체부는 이번 달 중에 평가인증 결과를 공유하는 공동연수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미인증 기관을 대상으로 맞춤형 상담을 진행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박물관과 미술관이 평가를 통해 운영 성과를 살펴보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국민 문화기반시설의 역할을 확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구글의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