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삼성·LG, 이제 로봇투자 경쟁...LG전자, 美 베어로보틱스 최대주주에

중앙일보

입력

LG전자의 물류 로봇인 클로이 캐리봇. 사진 LG전자

LG전자의 물류 로봇인 클로이 캐리봇. 사진 LG전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개발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투자하며 상업용 로봇 사업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낸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로봇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관련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하는 등 기술 선점 경쟁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LG전자는 6000만 달러(약 790억원)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취득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거래가 완료되면 LG전자는 단일 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주주가 된다. LG전자 측은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니라 사업 고도화 관점에서 진행하는 전략적 투자”라고 설명했다.

베어로보틱스의 서빙 로봇. 사진 베어로보틱스

베어로보틱스의 서빙 로봇. 사진 베어로보틱스

베어로보틱스는 구글 엔지니어 출신인 하정우 대표가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한 회사다.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배송로봇을 중심으로 미국·일본·한국 등에서 서빙 로봇 서비스를 펼치고 있다. 특히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관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업계에서는 미래 신사업으로 로봇을 점찍은 LG전자가 이번 투자를 통해 배송·물류 등 상업용 로봇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분석한다. LG전자 관계자는 “향후 상업용 로봇의 패러다임이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으로 전환될 것”이라 말했다. 상업용 로봇이 가정이나 식당, 오피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서비스를 하려면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확장성을 확보하는 게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을 선점해 표준화하는 것이 시장 경쟁의 핵심이라는 판단이다.

LG전자는 지난 2017년 인천국제공항 안내로봇 서비스를 시작으로 배송·방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 최적화된 로봇 솔루션 사업의 확장을 노리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미국·일본·동남아 등 해외 시장도 공략하기 시작했다. 서비스 로봇 시장은 AI·통신 등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저출산 고령화 등 생산활동 인구 감소 영향으로 빠르게 커지고 있다. 지난 2021년 362억 달러(약 48조 원) 수준이던 글로벌 서비스 로봇 시장은 2026년 1033억 달러(136조 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올해 공개한 공 모양의 인공지능(AI) 반려로봇 '볼리'.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올해 공개한 공 모양의 인공지능(AI) 반려로봇 '볼리'.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도 최근 로봇 투자를 늘리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870억원 규모의 전략투자를 통해 국내 휴머노이드 로봇 1호를 만든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14.83%를 확보했다. 이르면 연내 AI 집사 로봇 ‘볼리’와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 출시도 앞두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가능성’의 영역에 있던 로봇 기술을 실제 사업과 접목하기 위한 시도가 올해부터 본격화할 것”이라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