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봄에는 냉해, 겨울에는 일조량 줄어 곰팡이만…과일 농가 1년내내 '한숨'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량이 부족한 탓에 딸기에 곰팡이가 피고, 수정불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남 담양군에서 재배 중인 딸기. 황희규 기자

지난달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량이 부족한 탓에 딸기에 곰팡이가 피고, 수정불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남 담양군에서 재배 중인 딸기. 황희규 기자

지난 7일 오후 전남 담양군 금성면 일대 딸기 시설하우스. 이맘때쯤 빨갛게 익어야 할 딸기에 온통 회색 곰팡이가 피어있었다. 새콤달콤한 향기를 풍겨야 할 시설하우스 내부는 흙냄새만 가득했다. 지난달 흐리고 비 오는 날이 계속되면서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날 시설하우스 안에는 줄기에 새로 달린 딸기마저도 수정불량으로 모양이 울퉁불퉁하고 크기가 제각각이었다. 농민들은 "수확할 수 있는 딸기는 5개 중 1개도 되지 않는다"며 “딸기 수확을 위해 고용한 인부들에게 상한 딸기를 솎아내는 작업을 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농장 구석에는 솎아낸 딸기가 쌓여 있었다. 담양군에 따르면 이 지역 딸기 재배 농가 360㏊ 대부분에 같은 이런 피해가 발생했다.

딸기 재배농민 장미란(49·여)씨는 “딸기는 햇빛을 충분히 받고 낮은 습도를 유지해야 잘 자라는데 지난달 담양에 114.5㎜의 많은 비가 내렸다”며 “덜 자란 딸기도 절반 이상이 수정 불량이어서 눈앞이 캄캄하다”고 말했다.

“비싼 값에 팔리지 않아 문제”

지난달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량이 부족한 탓에 딸기에 곰팡이가 피고, 수정불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남 담양군 한 딸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모습. 황희규 기자

지난달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량이 부족한 탓에 딸기에 곰팡이가 피고, 수정불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남 담양군 한 딸기 시설하우스 내부의 모습. 황희규 기자

전국적으로 과일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지만, 농가들도 상심이 커지고 있다. 올해 과일 작황이 부진한 데다 가격 급등으로 오히려 소비자들이 외면하기 때문이다.

담양농협에 따르면 최근 딸기 판매가격은 1㎏당 9000원~2만 7000원이다. 크기가 작은 딸기는 9000원에서 1만원 초반대로 비교적 저렴해 수요가 꾸준히 있지만, 크기가 큰 딸기는 비싼 가격에 팔리지 않아 대부분 농가가 회수하고 있다고 한다.

담양농협 관계자는 “지난해 이맘때쯤보다 딸기값이 1.5배가량 올랐지만, 큰 딸기는 값이 올라도 판매가 되지 않으면 폐기 처분하기 때문에 농가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고 했다.

전남도, 정부에 재해 인정 촉구
딸기 이외에 멜론 등 다른 하우스 농산물도 마찬가지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2월 담양과 멜론 주산지인 나주지역 일조시간은 각각 115시간으로 최근 10년 평균 일조시간보다 35% 감소했다.

특히 나주는 멜론 생육기인 지난해 12월 일조시간이 125시간으로 전년보다 25% 감소하면서 수정·착과 불량 등으로 멜론 출하량이 16% 감소했다. 전남도는 피해 농가가 늘어나자 일조량 감소에 따른 농작물 생산량 감소를 재해로 인정하고 피해 조사를 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지난달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량이 부족한 탓에 멜론에 수정 불량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남 나주 세지면에서 재배 중인 멜론. [사진 농민]

지난달 많은 비가 내리고 일조량이 부족한 탓에 멜론에 수정 불량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남 나주 세지면에서 재배 중인 멜론. [사진 농민]

이철문나주세지멜론연합회 총무는 “멜론이 햇빛을 보지 못해 특품 크기의 멜론은 거의 없는 상태”라며 “나주 지역 전체로 봤을 때 올해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30%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딸기값 23.3%, 귤값 78% 급등

이런 가운데 이번 겨울 들어 사과·배 등 대부분의 과일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상승했다.

이중 신선과일 상승률은 41.2%로 1991년 9월(43.9%)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딸기값이 23.3% 상승한 가운데 귤 가격은 78.1%, 사과값은 71% 올랐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냉해 등으로 사과 생산량이 30%가량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인 만큼 당분간 사과 고물가 현상은 이어질 것"이라며 "여름 사과가 출하되는 7월까지 이런 현상은 유지될 것 같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