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대는 후원, 지방대선 등록금 쥐어짠다…'천원 학식' 양극화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5월 서울 종로구 상명대학교 학생식당에서 학생이 '천원의 아침밥'을 받아 식사 장소로 가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5월 서울 종로구 상명대학교 학생식당에서 학생이 '천원의 아침밥'을 받아 식사 장소로 가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의 한 사립대는 학생에게 1000원만 받고 아침 식사를 주는 이른바 ‘천원의 아침밥’의 적정 원가를 놓고 최근 고심에 빠졌다. 식재료값과 인건비 등 치솟은 밥상 물가를 고려하면 작년 한 끼 원가였던 3000원 선을 올해는 도저히 맞추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매일 학생 300여 명의 아침밥을 책임지기 위해 원가 부담이 큰 일반식 대신 김밥·샌드위치 등 간편식으로 대체하고 자율 배식제를 도입하는 등 자구책도 마련해봤지만 역부족이었다. 결국 원가를 올리기로 가닥 잡고, 구내식당을 운영하는 외부 업체와 적정선을 논의 중이다.

학교 관계자는 “재단 투자나 총동문회의 도움 없이, 학생 등록금에 의존해 운영하는 상황인지라 사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학교 부담이 커지고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뜨거운 학생 호응에 사업을 관둘 수는 없고, 한정된 예산 안에서 질 좋은 한 끼를 제공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막중하다”고 말했다.

지난 3월 경희대학교 학생들이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푸른솔문화관에서 천원의 아침밥을 배식받고 있는 모습. 뉴스1

지난 3월 경희대학교 학생들이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푸른솔문화관에서 천원의 아침밥을 배식받고 있는 모습. 뉴스1

반면에 지난 연말까지만 해도 예산 부족으로 ‘천원 학식’ 중단 위기에 처했던 서울대가 올해 들어 기부금 6000만원 이상을 모으며 기사회생한 것과 대조된다. 3일 서울대 발전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지난달 28일까지 ‘천원 학식’ 이름으로 들어온 기부금은 총 8812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까지 모금액은 2500만원에 불과했으나, 빠듯한 학내 사정이 알려지자 졸업 동문과 교직원, 관악구 주민들로부터 순식간에 돈이 모인 것이다. 기부 건수는 총 546건으로, 건당 평균 16만원가량인 셈이다.

고물가 속에 ‘천원의 아침밥’ 운영 대학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 사이에서 기부금 비중에 따라 ‘부담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3000~7000원대 원가로 책정돼 있는 ‘천원의 아침밥’은 학생이 1000원을 내면 정부·지자체가 1000원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대학 자체 예산으로 충당하는 식이다. 문제는 대학 부담금이다. 동문회나 발전재단 기부금이 충분한 서울권 대학이나 국립대는 여유가 있는 반면, 재정난을 겪는 지방·사립대에선 매 학기 인원수나 원가를 조정하거나 아예 사업을 접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연세대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비 가운데 국고 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 전액을 발전재단 기부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연세대 발전재단 홈페이지 캡처

연세대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비 가운데 국고 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 전액을 발전재단 기부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연세대 발전재단 홈페이지 캡처

대학 부담금은 교비와 기부금 등으로 꾸려지는데, 학교 사정에 따라 비중은 각기 달라진다. 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 등 서울권 주요 대학들은 대학 부담금 중 50~100%를 기부금으로 메꾸고 있다. 그러나 총동창회 후원 등 기부금 모집이 여의치 않은 지방 대학에선 순수 학생 등록금만으로 감당해내는 곳이 많았다. 대구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기부금을 쓸지 검토를 했으나, 아무래도 다른 데 들어갈 곳이 많다보니 이쪽(학식)에는 쓰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학교마다 교비 투입 규모가 달라서, 일괄적인 정부 지원금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북의 사립대학 관계자는 “수익성이 낮아 적자에 가깝다”며 “구내식당을 운영하는 외부 업체를 쥐어짜내야 하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예산 문제와 수요 예측 실패가 겹치며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중단하는 대학도 있다. 하루 300인분을 제공해왔던 세종대는 지난해 2학기 학교 교비 문제로 단가 5000원을 맞출 수 없어 사업을 잠깐 접었다. 카이스트(KAIST)도 ‘천원의 아침밥’ 사업으로 준비한 예산이 지난해 5~7월에 조기 소진되면서 2학기엔 학식 운영을 못 했다.

지방거점 국립대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단가 6500원짜리 아침밥을 제공 중인 전북대 관계자는 “총동창회 지원으로 겨우 단가를 맞추고 있다”며 “후원을 계속 확대해 나가자는 게 총장의 뜻”이라고 했다. 또 다른 국립대 관계자는 “기부금 없이는 학식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안정적인 재원 운용을 위해선 기업 등 ‘큰 손’의 기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대학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부는 올해부터 지원 금액을 기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리는 등 지난해보다 2배 더 많은 48억 4600만원을 관련 사업 예산으로 편성했다. 각 지자체에서도 38억원 규모를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천원의 아침밥’은 2017년 농림축산식품부가 쌀 소비 확대를 위해 시작한 사업으로, 2017년 10개 학교에서 올해 186개 대학으로 확대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