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차 멸종위기"...美, 中 BYD '멕시코 진출 추진'에 초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아차 멕시코 공장. 사진 현대차그룹

기아차 멕시코 공장. 사진 현대차그룹

“중국의 초저가 전기차가 ‘핫케이크’처럼 팔리고, 미국인들은 이를 먹어치울 것이다. 결국 미국 차 산업은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미국 자동차 업계가 중국 비야디(BYD)의 ‘멕시코 징검다리’ 전략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미국자동차연합(AAA)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전기차를 ‘핫케이크’에 비유하며 위기감을 드러냈다. 자국 산업의 손해를 감내하더라도 중국 기업의 미국 진출을 막기 위해서는 읍참마속(泣斬馬謖)으로 멕시코 징검다리를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AAA는 “중국 정부의 비호와 자금지원을 받은 값싼 중국 차가 미국 시장에 도입되면 미국 자동차 산업은 멸종 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중국 차에 열려있는 멕시코의 ‘백도어’를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멕시코는 저렴한 임금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미국 산업계의 숨통을 틔워주는 생산기지다. 미국이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맺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혜택을 받도록 한 것도 멕시코가 자국의 경쟁 상대가 되지 않을 것이란 판단 때문이었다.

미 제너럴모터스(GM)·포드가 공장을 세우고 스텔란티스·테슬라 등도 진출을 추진해온 이유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BMW, 일본 토요타·혼다, 한국 기아도 멕시코를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징검다리로 이용했다. 미국이 중국과 반도체 전쟁을 선포하며 찾았던 대안도 멕시코였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멕시코에는 인텔이 설계라인을, 텍사스인스트루먼트·스카이웍스 등이 후공정 라인을 운영 중이다.

중국 장쑤성 쑤저우의 타이창항 국제컨테이너터미널에서 BYD 전기차가 선적을 기다리는 모습. AFP=연합뉴스

중국 장쑤성 쑤저우의 타이창항 국제컨테이너터미널에서 BYD 전기차가 선적을 기다리는 모습. AFP=연합뉴스

中 진출 구상에…美 “백도어 막자”

미국에서 “백도어를 막아버리자”는 주장이 나온 건, 중국 비야디(BYD)가 멕시코 공장 설립을 추진하면서다. 중국 기업은 미국과의 ‘디커플링’ 국면 속 멕시코를 대미 수출 우회로로 적극 활용해왔다. 해운분석업체 제네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이 멕시코로 보낸 컨테이너는 88만1000개(20피트 기준)로 2022년(68만9000개)보다 27.8% 증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수출 통로가 좁아지자, 중국이 컨테이너선을 멕시코로 돌린 게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대(對) 멕시코 수입액은 4756억 달러(약 633조7400억원)로, 중국(4272억 달러)을 앞섰다.

AAA는 IHMH법(미국에서 개발·제조를 모두 한 기업에만 혜택)을 제정하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차에 배타적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을 펼치는 중이다. 또 중국을 겨냥해서는 경제체제·인권 카드까지 꺼냈다. 시장경제가 아닌 국가에 본사를 둔 기업에 관세 혜택을 배제하고, 공급망에 포함됐을 강제 노동방지법을 엄격히 적용해야한다는 것이다.

미국이 대선을 250여일 앞둔 가운데 이런 ‘아메리카 퍼스트’ 전략은 다시 시동을 거는 모양새다. 먼저 자동차 산업의 위기감에 올라탄 건 지난달 “자동차 산업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오겠다”고 밝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다. 여기에 ‘반도체 밀어주기’에 앞장섰던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가세했다.

멕시코 알루미늄 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멕시코 알루미늄 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韓기업, 멕시코 의존도 크지 않아 

국내 기업들의 멕시코 의존도는 높지 않다. 기아는 2016년부터 멕시코에 40만대 생산 가능한 공장을 가동 중인데, 지난해 가동률은 66.3%(26만5000대)에 불과했다.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공장 중 사실상 꼴찌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가전공장, LG그룹은 마그나인터내셔널과 합작해 LG마그나 전장공장 등을 운영 중이다.

대신 미 공장의 가동 스케줄을 앞당기고 있다. 현대차는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을 예정보다 앞당겨 오는 10월 가동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의 가동을 곧 시작한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이 미국의 불확실성에 ‘정공법’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 대선 유력 주자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 BBC

미 대선 유력 주자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 BBC

“美보조금 못받을 수도…대책 세워야”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통상 전문가인 김두식 테크앤트레이드연구원 상임대표(전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는 “‘미국 산업 우선 육성’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 반도체법 보조금 배정만 해도 삼성전자에 앞서 자국기업인 글로벌파운드리(GFS) 등에 배정했는데, 미국이 한국기업까지 경쟁자로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한국 기업이 미국에 투자해도 기대했던 혜택을 받지 못한 채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크다. 동맹·연대에 너무 현혹되지 말고, 냉정하게 살아남을 전략을 짜야 한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