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년 긴데' 도약계좌 망설일 때…최고 연 6.5% 적금 내놓은 은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대 여성 A씨는 오는 28일 '청년희망적금'(2022년 2~3월 출시된 정책 금융 상품) 만기를 앞두고 고민이다. 지난 2년간 월 50만원씩 납입했고, 이자에다 정부의 저축 장려금 36만원이 더해져 예상 수령액은 1300여만원이 된 상태다. A씨는 “또 다른 정책 금융 상품인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까 고민도 되지만 가입기간 5년이 길어서 망설여진다”며 “일단 혜택이 좋은 은행 단기 적금을 들고, 일부는 주식 투자 등으로 분산하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20조’ 청년희망적금 만기 온다…분주한 은행권

이달 21일부터 20조원에 이르는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오자 은행들은 고금리 예·적금 상품을 내놓으며 '청년 고객 모시기' 경쟁에 나서는 분위기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 만기 예정자는 다음 달 4일까지 200만여명에 이른다.

신한은행은 18~39세 청년을 대상으로 1년 만기 ‘청년 처음 적금’ 상품을 내놨다. 기본금리는 연 3.5%.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해지할 경우 얹어주는 연 1.0%포인트 등 우대금리 최고 연 3.0%포인트를 더하면 최고 연 6.5%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최고금리가 연 4%인 ‘공동구매 정기예금’을 2년 만에 재출시했는데,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시 0.5%포인트 이벤트 이율을 제공한다. 하나은행은 ‘급여하나 월 복리 적금’에 35세 이하 대상 청년응원 특별금리 연 1.3%를 제공해 최고 연 5.85%의 이자를 준다. 우리은행은 31~200일간 가입할 수 있는 ‘n일 적금’에 연 6% 금리를 내걸어 만기가 짧은 적금을 선호하는 청년층을 겨냥했다.

‘5년 부담’에…청년도약계좌 대신 은행으로 눈 돌린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이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수요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은행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측면도 있다. 지난해 6월 출시된 청년도약계좌는 19~34세 청년이 5년간 매달 최대 70만원을 적금하면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줘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상품이다. 금융위원회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할 수 있도록 해, 청년도약계좌로의 연계를 유도했다. 실제 지난 16일까지 만기 예정자 200만여명 중 41만여명이 청년도약계좌로 '환승'을 결정했다.

하지만 A씨처럼 일반 은행 상품을 찾는 이들도 적지 않다. 대부분  "5년이라는 납입기간이 너무 길고, 결혼‧출산 등 이유로 중도해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2년짜리 청년희망적금의 중도 해지율 역시 30% 가량으로 집계된 바 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청년도약계좌 연계 방법 안내문. 금융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청년도약계좌 연계 방법 안내문. 금융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금융위는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면 중도 해지 시에도 비과세를 적용하고 ▶결혼‧출산 등은 특별 중도 해지 사유로 인정해 비과세와 정부 기여금 혜택을 줄 수 있도록 손질하겠다는 입장이다. 20대 여성 B씨는 "정책이 수정된다고는 하지만, 수년 내 결혼 계획이 있어 지출 불확실성이 크다 보니 아무래도 해지 부담이 덜한 상품을 찾게 된다"며 "연 6%를 주는 1년짜리 적금 상품에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을 넣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책 다양화 필요" 목소리도

저축 지원 위주의 청년 자산 형성 사업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 형태 상품은 저축 장려 외에 사회 초년기 청년들의 자산관리 역량을 향상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며 “자본시장을 활용한 자산형성 지원 정책을 설계해 장기투자를 촉진하고 투자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금융지원 방식도 가능하다”고 제언했다. 사업에 참여한 금융사가 적절한 포트폴리오 투자안을 제공하도록 하고, 정부는 청년의 납입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의 매칭 지원금을 주는 방식 등이다.

김 위원은 “저소득 청년 가구의 경우 상당 부분 금융자산이 전·월세 보증금에 묶여 있고 금융투자에 다소 소홀한 경향이 있어 실질적인 자산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며 “저축 외에도 투자를 활용하고 자산관리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도록 해 청년 간 자산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