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교통지옥' 명동이 변한다…버스 장벽 312m→93m 줄일 묘수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버스 표지판 제도 시행 이후 서울 중구 명동입구 광역버스 정류장에 늘어선 광역버스. 문희철 기자

버스 표지판 제도 시행 이후 서울 중구 명동입구 광역버스 정류장에 늘어선 광역버스. 문희철 기자

200m 이상 광역버스가 늘어서며 교통 혼잡 사태를 유발했던 노선별 버스 표지판 제도가 일시 보류된 가운데, 서울시가 22일 광역버스 정류소 혼잡도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명동·강남 광역버스 통행이 잦은 지역 버스 정류소 중 일부를 분산하고 일부 버스 노선을 변경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서울시, 광역버스 정류소·노선 혼잡 개선 대책

서울시가 서울 중구 명동입구 정류소 위치와 노선을 조정했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서울 중구 명동입구 정류소 위치와 노선을 조정했다. [사진 서울시[]

시는 우선 연말연시 극심한 혼란을 빚었던 중구 명동입구 정류소 인근에 광교 정류소·명동입구B 정류소를 오는 24일 신설한다. 광교 정류소에는 M5107·M5115·M5121·8800(이상 수원), 5007(용인) 등 5개 노선이 정차한다. 4108·M4108 등 2개 노선은 또 다른 신설 정류소(명동입구B)에 선다. 이밖에 9401 버스(성남)는 명동입구 정류소 인근 롯데 영프라자 정류소에서 정차한다.

명동입구에서 일부 광역버스는 운행 경로를 변경한다. 5개 노선은 인근 지역에서 회차하고, 2개 노선은 명동입구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하도록 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조치가 이른바 ‘명동 버스 대란’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연구원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이번 조치를 시행하면 명동입구 정류소에서 버스 대기행렬은 평균 312m에서 93m로 감소하고, 17.9㎞/였던 자동차 통행 속도도 21.7㎞/h로 빨라질 전망이다.

서울시가 발표한 강남역 버스 노선 조정안.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발표한 강남역 버스 노선 조정안. [사진 서울시]

인천·경기도 광역버스가 오가는 명동 이외 주요 지역 버스 정류장도 위치를 조정한다. 상반기 중으로 경기도와 협의해 남대문세무서 정류소에 정차 중인 10개 노선을 분산한다. 이 노선은 남대문세무서 정류소 인근 가로변에 신설하는 명동성당 정류소(가칭)를 이용하게 된다.

이 밖에도 강남역·신논현역·사당역 광역버스 정류장·노선도 경기도와 협의해 상반기 중 일부 조정한다. 강남역은 인근 지역에 3개 가로변 정류소를 만들어 노선을 분산한다. 1560(용인) 등 8개 노선이 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 강남역 도시에빛, 강남역티월드 정류소를 이용한다. 신논현역도 5개 노선이 가로변 정류소로 이전할 예정이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일부 정류장에 광역버스 노선이 집중적으로 몰려있어 탑승할 때 불편하고 무단횡단 등 안전사고도 우려된다”며 “정류소 분산과 버스노선 조정은 필요한 만큼 관계기관과 지속해서 협의해 혼잡도 개선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 “명동입구 버스 행렬 321→93m” 

서울 중구 명동 입구 광역버스 정류장에서 계도요원이 차량 혼잡을 막기 위해 수신호를 보내고 있다. 문희철 기자

서울 중구 명동 입구 광역버스 정류장에서 계도요원이 차량 혼잡을 막기 위해 수신호를 보내고 있다. 문희철 기자

다만 이번 대책이 근본적인 해법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도심에 유입하는 버스 물량을 축소하거나 버스가 통행할 수 있는 도로를 확대하는 등 근본적으로 광역버스 수급을 조정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근본적으로 광역버스 수요·공급은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보영 서울시 교통기획관은 “광역버스 노선 축소는 광역버스 면허권자인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나 경기도와 협의가 필요하다”라며 “일단 정류장 분산과 노선 조정 같이 서울시가 할 수 있는 정책을 써보고 추후 대광위에서 논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 금지 정책이 출퇴근 시간 도심으로 유입하는 버스 대수를 늘려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윤 교통기획관은 “입석을 허용하면 한 시간씩 버스를 타고 오면서 밀집·안전 등 다른 문제가 또 발생할 수 있다”며 “입석 허용은 법규 개정을 거쳐야 하는 복잡한 문제라 일단 지금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고 추후 상황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