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성재의 마켓 나우

문제는 물가야, 바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김성재 미국 퍼먼대 경영학과 교수·『페드시그널』 저자

김성재 미국 퍼먼대 경영학과 교수·『페드시그널』 저자

국가의 흥망은 경제가 좌우한다. 번영은 전쟁의 뒤를 잇는 물가 급등 때문에 위협받는다. 그 시대의 초강대국으로 군림하며 글로벌 교역시스템을 건설한 로마제국과 원나라도 물가 앙등에 민심이 이반해 붕괴했다. 미국 역대 정권도 다르지 않았다.

미국 경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큰 번영을 누렸다. 성장을 이끌던 케네디 대통령이 1963년 암살되자 전 세계가 충격에 빠졌지만, 그 후임 존슨 대통령은 자신감에 넘쳤다. 경제는 두 자릿수 성장률에 근접했고 물가는 1%대로 안정됐다. 자신감을 바탕으로 그는 ‘위대한 사회’라 불리는 거대한 복지정책을 발표했다. 오랜 기간 소외된 흑인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민권법에도 서명했다.

[일러스트=김지윤]

[일러스트=김지윤]

공산권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베트남전쟁에도 뛰어들었다. 미국 자동차 3사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90%에 이르던 당시 미국의 승리를 의심한 이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베트남전은 깊은 수렁에 빠져들었다. 1968년 3월 존슨 대통령은 놀라운 발표를 했다. 4년 전 대선에서 선거인단의 90%를 석권하는 압도적 승리를 거두었던 그가 재선 도전 포기를 선언했다. 베트남전이 발목을 잡았지만 보다 큰 문제는 경제였다. 장기간 안정세를 보이던 물가가 4% 가까이 치솟았다.

1970년대 들어 미국의 힘에 빈틈이 노출되자 중동이 불안해졌다. 1973년 아랍연합군이 이스라엘을 침공했다. 이 전쟁은 이전과 달리 매우 격렬했다. 국제유가가 순식간에 3배로 뛰었다. 미국 물가도 들썩였다. 1년이 채 되지 않아 인플레이션은 12%를 넘었다. 미 정부는 갈팡질팡했다. 닉슨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을 방해했다. 워터게이트로 낙마한 닉슨의 뒤를 이은 포드 대통령은 물가 잡기에 진심이었다. 카풀을 장려하고 채소도 손수 키우자고 독려했다. 그 덕택에 1976년 물가는 5%로 내려왔지만, 그 해 치러진 대선에서 집권 공화당은 졌다.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았고 유권자는 표로 응징했다. 어렵게 선거에 이긴 카터 대통령에게도 물가는 난제였다.

1979년에는 이란 혁명이 일어났다. 국제유가가 또 한 번 요동쳤다. 인플레이션이 다시 두 자릿수가 됐다. 카터는 폴 볼커를 연준 의장으로 임명해 물가를 잡게 했다. 연준은 금리를 21%로 올렸다. 물가는 다소 내려왔지만 카터는 선거에서 대패했다.

누군가 ‘문제는 물가야, 바보야!’라며 훈수를 두는 듯하다. 최근에도 물가는 다소 안정된 듯 보이지만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인플레이션 불안감은 여전하다. 물가 불안이 이어지면 경기가 위축된다. 고금리가 지속돼 경기침체가 가시화한다. 물가와 경기 사이에 균형감각을 지닌 정책의 시행이 절실한 이유다.

김성재 미 퍼먼대 경영학과 교수·『페드시그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