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소니·토요타 손잡고 2공장도 연내 착공…TSMC의 이유있는 일본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TSMC는 6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고 일본 구마모토현에 두 번째 공장을 짓기 위해 투자를 늘린다는 안건을 승인했다. 사진은 대만 TSMC 건물 모습. AP=연합뉴스

TSMC는 6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고 일본 구마모토현에 두 번째 공장을 짓기 위해 투자를 늘린다는 안건을 승인했다. 사진은 대만 TSMC 건물 모습. AP=연합뉴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일본에 공장을 또 짓는다. 이달 내 문을 여는 구마모토현 제1 공장에 없는, 첨단 반도체 생산 공정까지 추가해서다. 이로써 TSMC는 해외에 생산기지를 다변화하는 효과를 얻고, 일본은 잃어버린 반도체 제조국의 영광을 되찾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됐다.

TSMC는 6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고 일본 구마모토현에 두 번째 공장을 짓기 위해 TSMC의 일본 자회사 JASM(일본 첨단반도체제조사)에 52억6200만달러(6조9830억원)를 추가 투자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JASM은 TSMC가 일본에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소니(지분율 6%), 덴소(5.5%)와 함께 설립한 회사인데, 이번에 토요타(2%)까지 합류했다.

제2 공장은 올해 말 착공해 2027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한다. TSMC는 “늘어나는 고객 수요에 대응해 일본 남부 구마모토에 제2 공장을 짓는다”라며 “생산 규모 증가로 JASM의 전반적인 비용 구조와 공급망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구마모토현 제1공장은 이달 24일 개소식을 앞두고 있다. 대만 외 지역에서 TSMC 반도체가 생산되는 첫 공장이기도 하다. 도쿄돔 4.5배 규모인 이곳에서는 12·16·22·28나노(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공정 기반으로 12인치 웨이퍼 월 5만5000장이 생산될 예정이다.제2 공장에는 6나노 공정 생산라인이 들어선다. 구마모토의 두 공장이 모두 완공되면 매월 12인치 웨이퍼 10만장 이상이 생산되며, 일자리 3400개가 생길 것으로 회사는 예상하고 있다. 아직 공식적인 발표가 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TSMC가 3나노 공정에 해당하는 제3 공장도 일본에 지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일본과 더 끈끈해지는 TSMC...매력은?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TSMC가 잇따라 일본행을 택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일본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 영향이 크다. 일본 정부는 글로벌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공장 건설비의 최대 50%까지 지원하는 인센티브를 내세웠다. 국적도 가리지 않고, 성숙(레거시) 공정부터 첨단 반도체까지 구분 없이 지원하는 조건이다. TSMC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강력한 지원으로 JASM에 대한 투자 총액은 200억 달러(약 26조5400억원)를 넘어섰다. 일본 정부는 자국 내 공장에서 만든 반도체에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일본판 인플레이션 감축법’도 시행될 예정이다.

일본의 저렴한 인건비도 매력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국민 기업’으로 불리는 소니의 대졸 초임 월급은 약 22만2000엔(약 199만1517원)이다. JASM은 지난해 125명 신입사원을 채용했는데, 대졸 사원들에게 28만엔(약 268만원)을 월급으로 지급했다. 소니나 구마모토현 내 500인 이상 기업 대졸 기술자의 초임(20만9730엔)보다 약 68만원 더 많다. TSMC의 평균 연봉 317만대만달러(약 1억3600만원, 2022년 기준)에 비하면 적지만, 그 지역 최고 인재들을 뽑기에 충분한 금액이라는 의미다.

일본은 소재·부품·장비 등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탄탄하고, 자동차나 전자 기기 등 완성품 제조업이 발달해 반도체 수요가 많다는 것도 큰 이점이다. JASM에 투자한 토요타도 차량용 반도체 수요처다. 또 중국과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안정되고 대만과도 멀지 않다는 점 역시 TSMC의 일본행의 중요한 배경이다.

지난달 18일 열린 TSMC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마크 리우 회장(오른쪽)과 웨이저자 CEO. AFP=연합뉴스

지난달 18일 열린 TSMC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마크 리우 회장(오른쪽)과 웨이저자 CEO. AFP=연합뉴스

부활 노리는 일본의 몸부림

TSMC뿐 아니라 일본 내에 다양한 반도체 공장들의 완공이 줄이어 예정돼 있다. 일본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이 미에현에 공동으로 투자한 낸드플래시 공장이 오는 3분기에 양산을 시작한다. 미국 마이크론의 히로시마 D램 공장도 올해 말 양산이 목표다. 도요타·소니·키옥시아·NTT 등 8개사가 공동으로 합작해 세운 라피더스의 훗카이도 공장도 2027년 2나노 칩 양산이 목표다. 현재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 중인 공장들이 양산을 시작하게 되면 메모리 치킨게임 후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존재감이 사라진 일본의 입지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반도체 소재 기업 JSR 인수에 일본투자공사(JIC)가 직접 나서는 등 일본 정부는 반도체 산업 부흥에 더 속도를 내고 있다. JSR은 반도체 웨이퍼에 회로 설계를 인쇄하는 데 쓰이는 특수 화학물질 포토레지스트를 공급하는 업체인데 일본 경제산업성이 감독하는 JIC가 인수에 나선 것이다. ‘사실상 민간 기업의 국유화’라는 비판도 나오지만 일본 정부는 행여나 JSR이 미국 등에 넘어갈 것을 우려, 반도체 산업에 깊숙하게 관여하는 모습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에 일본은 기술력, 노동자의 근면성 등 어느 면으로 보나 가장 두려운 경쟁 상대”이라며 “그동안 경쟁의 링에서 물러나 있었지만 일본이 과거처럼 다시 영광을 찾겠다는 움직임이 커질수록 한국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